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70년의 대화 : 새로 읽는 남북관계사

김연철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연철
서명/저자사항70년의 대화 : 새로 읽는 남북관계사 / 김연철 지음.
발행사항파주 : 창비, 2018.
형태사항351 p. : 삽화, 도표 ; 23 cm.
ISBN9788936486235
서지주기참고문헌(p. 333-341)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남북관계사,남북교류,분단,한반도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20422 327.9519 김648ㅊ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20423 327.9519 김648ㅊ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남북관계의 오늘을 만든 7시대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해방 직후 분단을 겪고 두개의 정부가 수립된 무렵부터 오늘날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대화를 재개하기까지, 남북관계의 결정적 장면을 속도감 있게 그리는 한편 관계의 정곡을 파고든 『70년의 대화』. 1950년대 정전협정부터 북핵문제에 이르는 남북관계의 지난날을 수동이 아닌 능동의 지혜로, 좁은 눈이...

목차 전체

남북관계의 오늘을 만든 7시대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해방 직후 분단을 겪고 두개의 정부가 수립된 무렵부터 오늘날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대화를 재개하기까지, 남북관계의 결정적 장면을 속도감 있게 그리는 한편 관계의 정곡을 파고든 『70년의 대화』. 1950년대 정전협정부터 북핵문제에 이르는 남북관계의 지난날을 수동이 아닌 능동의 지혜로, 좁은 눈이 아닌 넓은 눈으로, 단절이 아닌 역사의 지속으로 조망한다.

돌이켜볼 때 남북관계는 대결하다가도 협력하고 전쟁위기까지 갔다가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며 가다 서다를 반복해왔고, 그 사이사이를 ‘대화’가 이어오고 있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노태우, 김영삼, 김대중·노무현, 이명박·박근혜 정부까지 7개의 시대, 7가지 대북정책을 통해 오늘날 남북관계를 들여다본다.

국제정치 질서와 국내정치 상황에 따라 대결과 악화, 접촉과 협력을 반복해온 지난 정부의 대북정책을 남북관계의 성격에 따라 시대별로 조망하면서 그날그날의 긴박한 뉴스를 정치적으로 조성된 불안이나 공포와 거리를 두고 꿰뚫는 눈을 얻게 해준다.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실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저자는 ‘대화’를 통한 대북정책에 방점을 두고 있는 새 정부에 남북관계를 바라볼 때 흔히 북한의 대남정책을 중시하던 데서 눈을 돌려, 종전과 평화정착 과정에서 한국의 주도적 역할과 대북정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목차

목차 일부

프롤로그 남북관계를 보는 눈 
 먼저 움직이자: 능동적 접근 / 넓게 보자: 포괄적 접근 / 길게 보자: 역사적 접근 / 거울 앞에서 

1장 전후(戰後): 1950년대와 제네바 회담 
 판문점에서 제네바로 / 평화공존론: 중국의 전후구상 / 미국의 전후구상과 한미 갈등 / 제네바의 남북관계: 통일방안 제안경쟁 / 제네바 회담 이후 동북아 냉전질서 ...

목차 전체

프롤로그 남북관계를 보는 눈 
 먼저 움직이자: 능동적 접근 / 넓게 보자: 포괄적 접근 / 길게 보자: 역사적 접근 / 거울 앞에서 

1장 전후(戰後): 1950년대와 제네바 회담 
 판문점에서 제네바로 / 평화공존론: 중국의 전후구상 / 미국의 전후구상과 한미 갈등 / 제네바의 남북관계: 통일방안 제안경쟁 / 제네바 회담 이후 동북아 냉전질서 

2장 대결의 시대: 1960년대 제한전쟁과 푸에블로호 사건 
 남한 대 북한: ‘제한전쟁’ 시대 / 북한 대 중국: 전략적 이해의 복원 / 소련 대 북한: 정세완화 외교 / 북한 대 미국: 판문점 협상 / 한국 대 미국: 갈등 조정의 외교 / 대결체제의 교훈 

3장 대화가 있는 대결의 시대: 1970년대와 7ㆍ4남북공동성명 
7ㆍ4남북공동성명으로 가는 길 / 대결의 시대에 펼쳐진 남북대화: 7ㆍ4남북공동성명 / 데탕트 위기론과 한미 갈등 / 국내정치로서 대북정책 / 다시 대화에서 대결로 

4장 합의의 시대: 북방정책과 남북기본합의서 
 최초의 인도적 지원과 이산가족 상봉 / 전두환 정부의 남북대화 / 전두환에서 노태우로: 북방정책의 형성 /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당사자 주도 원칙 / 남북기본합의서의 의미와 좌절 

5장 공백의 5년: 김영삼 정부의 남북관계 
 만들어진 공포, 1994년 6월 전쟁위기 / 조문 파동: 대북정책의 국내정치화 / 통미봉남: 남ㆍ북ㆍ미 삼각관계에 대한 오해 / 여론에 따라 춤춘 대북정책/ 잃어버린 5년 

6장 접촉의 시대: 두번의 남북 정상회담 
 햇볕정책: 접촉을 통한 변화 / 2000년, 남ㆍ북ㆍ미 삼각관계의 선순환 / 노무현 정부와 9ㆍ19공동성명 / 2007년 정상회담과 한반도 평화정착 / 금강산, 개성, 철도: 경제협력의 3대 사업 / 접촉의 시대가 남긴 과제 

7장 제재의 시대: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의 남북관계 
 대북정책의 단절과 부정 / 공든 탑이 무너지다: 금강산 관광 중단과 5ㆍ24조치 / 불신을 생산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 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박론 / 실패한 제재 / 제재와 핵개발의 악순환을 넘어 

 에필로그 평화도 통일도 과정이다 
 평화는 과정이다: ‘사실상의 평화’ / 통일은 과정이다: ‘사실상의 통일’ / 공간의 상상력과 북방경제

저자소개

저자 : 김연철 
 
  
저자가 속한 분야
정치/사회작가  > 정치/외교학자 
  
저자 김연철(金鍊鐵)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 북한 및 남북관계 분야의 손꼽히는 전문가로 현재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민소통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북한연구팀에서 근무하며 남북 경제협력의 현장을 체험하고, 노무현 정부 시기 통일부 장관 정책보좌관으로서 남북협상과 6자회담 등 정책 현장에서 일했다. 지은 책으로 『협상의 전략』 『냉전의 추억』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