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Chapter 1 2014, 한국 영화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Chapter 2〈박하사탕〉 | 이창동 감독, 2000
지난 세월의 상처를 돌아보지 않고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을 수는 없다
Chapter 3〈공동경비구역 JSA〉 | 박찬욱 감독, 2000
공동경비구역이 젊은이들의 놀이터가 되는 날은 언제 올 것인가
Chapter 4〈장화, 홍련〉 |...
목차 전체
Chapter 1 2014, 한국 영화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Chapter 2〈박하사탕〉 | 이창동 감독, 2000
지난 세월의 상처를 돌아보지 않고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을 수는 없다
Chapter 3〈공동경비구역 JSA〉 | 박찬욱 감독, 2000
공동경비구역이 젊은이들의 놀이터가 되는 날은 언제 올 것인가
Chapter 4〈장화, 홍련〉 | 김지운 감독, 2003
원초적 두려움은 가족 공동체 안에서 발현된다
Chapter 5〈실미도〉 | 강우석 감독, 2003
국가가 기른 전사, 국가가 용도 폐기함으로써 괴물로 귀환하다
Chapter 6〈그때 그 사람들〉 | 임상수 감독, 2005
한국 영화사상 권력을 이토록 즉물적으로 조롱한 영화는 없었다
Chapter 7〈홀리데이〉 | 양윤호 감독, 2006
탈주한 잡범의 입에서 시대(5공ㆍ6공)의 본질이 운위되다
Chapter 8박찬욱과 복수 3부작 | 〈복수는 나의 것〉(2002), 〈올드보이〉 (2003), 〈친절한 금자씨〉(2005)
야만의 정의, 복수! 박찬욱식 설욕과 앙갚음의 세 가지 변주곡
Chapter 9〈가을로〉 | 김대승 감독, 2006
압축 성장의 값비싼 대가, 참사의 상처는 치유될 수 있는가
Chapter 10〈화려한 휴가〉 | 김지훈 감독, 2007
대한민국 현대사의 도저한 참극, 1980년 5월의 광주
Chapter 11〈밀양〉 | 이창동 감독, 2007
회개와 죄 사함, 용서와 구원은 ‘밀양’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hapter 12〈똥파리〉 | 양익준 감독, 2009
트라우마 원천으로서의 가족, 폭력의 대물림
Chapter 13〈마더〉 | 봉준호 감독, 2009
온갖 트라우마 속에서 대한민국을 낳고 기른 엄마, 그녀는 누구인가
Chapter 14〈두 개의 문〉 | 김일란ㆍ홍지유 감독, 2012
용산 참사, MB 정권의 맨 얼굴을 드러내다
Chapter 15〈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 | 윤종빈 감독, 2012
비(卑)와 굴(屈) 또는 아버지. 시대의 진정한 범죄자는 누구였을까
Chapter 16〈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 오멸 감독, 2013
제주 4ㆍ3 사건 희생자들을 위한 제사, 우리 모두를 위한 화목제
Chapter 17김기덕, 그리고 〈피에타〉 | 김기덕 감독, 2012
‘김기덕’이라는 트라우마 생존자, 그리고 그의 영화들
Chapter 18〈더 테러 라이브〉 | 김병우 감독, 2013
우리 사회의 기층민이 발언권을 얻는 유일한 방법, 테러
Chapter 19성폭력 사건을 다루는 영화들 | 〈소원〉(이준익 감독, 2013)과 한공주(이수진 감독, 2014)
성폭력의 생존자, 그리고 그 가족을 바라보는 몇몇 시선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