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트라우마로 읽는) 21세기 한국영화

서정남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서정남, 1960-
서명/저자사항(트라우마로 읽는) 21세기 한국영화 / 서정남 지음.
발행사항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 2014.
형태사항571 p. ; 22 cm.
총서사항한울아카데미 ; 1735
대등서명21st century Korean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trauma
ISBN9788946049246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포함
기금정보주기2010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0-812-G00018)
비통제주제어한국영화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20856 791.4309519 서736ㅇ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274637 대출가능
2 E520857 791.4309519 서736ㅇ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0274638 대출가능

초록

『21세기 한국영화』는 21세기에 나온 한국 영화 중 문제작 22편을 엄선해 등장인물이 겪는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영화를 풀어본다. 영화에 나오는 인물들은 우리 현대사를 온몸으로 살아낸 사람들이다. 순수한 공장 노동자였던 영호가 몰락의 길을 겪는 과정을 그린 《박하사탕》을 시작으로 성폭력 사건을 다룬 《소원》, 《한공주》 등을 책에 담았다.

목차

목차 일부

Chapter 1 2014, 한국 영화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Chapter 2〈박하사탕〉 | 이창동 감독, 2000
지난 세월의 상처를 돌아보지 않고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을 수는 없다
Chapter 3〈공동경비구역 JSA〉 | 박찬욱 감독, 2000
공동경비구역이 젊은이들의 놀이터가 되는 날은 언제 올 것인가
Chapter 4〈장화, 홍련〉 |...

목차 전체

Chapter 1 2014, 한국 영화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Chapter 2〈박하사탕〉 | 이창동 감독, 2000
지난 세월의 상처를 돌아보지 않고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을 수는 없다
Chapter 3〈공동경비구역 JSA〉 | 박찬욱 감독, 2000
공동경비구역이 젊은이들의 놀이터가 되는 날은 언제 올 것인가
Chapter 4〈장화, 홍련〉 | 김지운 감독, 2003
원초적 두려움은 가족 공동체 안에서 발현된다
Chapter 5〈실미도〉 | 강우석 감독, 2003
국가가 기른 전사, 국가가 용도 폐기함으로써 괴물로 귀환하다
Chapter 6〈그때 그 사람들〉 | 임상수 감독, 2005
한국 영화사상 권력을 이토록 즉물적으로 조롱한 영화는 없었다
Chapter 7〈홀리데이〉 | 양윤호 감독, 2006
탈주한 잡범의 입에서 시대(5공ㆍ6공)의 본질이 운위되다 
Chapter 8박찬욱과 복수 3부작 | 〈복수는 나의 것〉(2002), 〈올드보이〉 (2003), 〈친절한 금자씨〉(2005)
야만의 정의, 복수! 박찬욱식 설욕과 앙갚음의 세 가지 변주곡
Chapter 9〈가을로〉 | 김대승 감독, 2006
압축 성장의 값비싼 대가, 참사의 상처는 치유될 수 있는가
Chapter 10〈화려한 휴가〉 | 김지훈 감독, 2007
대한민국 현대사의 도저한 참극, 1980년 5월의 광주
Chapter 11〈밀양〉 | 이창동 감독, 2007
회개와 죄 사함, 용서와 구원은 ‘밀양’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hapter 12〈똥파리〉 | 양익준 감독, 2009
트라우마 원천으로서의 가족, 폭력의 대물림
Chapter 13〈마더〉 | 봉준호 감독, 2009
온갖 트라우마 속에서 대한민국을 낳고 기른 엄마, 그녀는 누구인가
Chapter 14〈두 개의 문〉 | 김일란ㆍ홍지유 감독, 2012
용산 참사, MB 정권의 맨 얼굴을 드러내다
Chapter 15〈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 | 윤종빈 감독, 2012
비(卑)와 굴(屈) 또는 아버지. 시대의 진정한 범죄자는 누구였을까
Chapter 16〈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 오멸 감독, 2013
제주 4ㆍ3 사건 희생자들을 위한 제사, 우리 모두를 위한 화목제
Chapter 17김기덕, 그리고 〈피에타〉 | 김기덕 감독, 2012
‘김기덕’이라는 트라우마 생존자, 그리고 그의 영화들
Chapter 18〈더 테러 라이브〉 | 김병우 감독, 2013
우리 사회의 기층민이 발언권을 얻는 유일한 방법, 테러
Chapter 19성폭력 사건을 다루는 영화들 | 〈소원〉(이준익 감독, 2013)과 한공주(이수진 감독, 2014)
성폭력의 생존자, 그리고 그 가족을 바라보는 몇몇 시선들

저자소개

저자 : 서정남
저자 서정남은 1960년생. 충북 보은에서 태어나 ‘영혼이 따뜻했던 유년기 시절’ 10년을 지낸 후, 수원에서 10여 년간 잔뼈를 키웠다. 20대의 ‘8할’을 바람같이 보낸 후, 뒤늦게 뜻한 바가 있어 도불(渡佛)하여 30대를 프랑스에서 지냈다. 40대부터 본격적으로 강의와 저술 활동을 하며 지금에 이르렀다. 현재 계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지은 책(단독 저서)으로는 『서정남의 북한영화탐사』(생각의 나무, 2002), 『영화 서사학』(생각의 나무, 2004), 『영상예술의 이해』(계명대학교 출판부, 2006), 『할리우드 영화의 모든 것』(이론과 실천, 2009) 등이 있다. 본래 세부 전공이 서사학(‘구라학’)이다 보니 다양한 분야에 관심의 촉수를 드리우고 있으며, 특히 세상 사람들을 웃기고 울리는 온갖 종류의 ‘구라들’에 대해 관심이 많다.
20년 가까이 ‘영화평론가’라는 이름은 걸고 있으나 우리 영화에 대한 제대로 된 비평적 담론을 생산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자책을 해오던 중, 한국연구재단의 저술 지원을 받게 되어 책을 만들어볼 염을 내게 되었다. 한국 영화가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을 하는 동안 폭발적으로 풍성해진 비평적 담론의 숲에 뛰어들지 못하고 그저 먼발치에서 구경만 하던 변방의 ‘향토학자’가 뒤늦게 빚 갚는 마음으로, 긴 시간, 마음속에서 울렁거리던 이야기들을 길어 올려 책으로 묶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