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떨림과 울림 : 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우리

김상욱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상욱
서명/저자사항떨림과 울림 : 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우리 / 김상욱 지음.
발행사항서울 : 동아시아, 2018.
형태사항270 p. : 삽화 ; 21 cm.
ISBN9788962622508
일반주기 부록: 지식에서 태도로: 불투명한 세계에서 이론물리학자로 산다는 것
비통제주제어우주,은하,물리학자,떨림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27569 523.1 김5132ㄸ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27570 523.1 김5132ㄸ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이 책이 속한 분야
  과학   > 교양과학   > 과학이야기  
  
이 책의 주제어

#과학이야기 # 물리학 # 빅뱅이론 # 양자역학 
  
물리라는 언어를 통해 세계와 우리 존재를 바라보는 다른 눈을 뜨게 하다! 

‘물리’라는 과학의 언어를 통해 세계를 읽고 생각하는 또 다른 방법을 안내하는 『떨림과 울림』. 빛, 시공간, 원자, 전...

목차 전체

이 책이 속한 분야
과학 > 교양과학 > 과학이야기

이 책의 주제어

#과학이야기 # 물리학 # 빅뱅이론 # 양자역학

물리라는 언어를 통해 세계와 우리 존재를 바라보는 다른 눈을 뜨게 하다!

‘물리’라는 과학의 언어를 통해 세계를 읽고 생각하는 또 다른 방법을 안내하는 『떨림과 울림』. 빛, 시공간, 원자, 전자부터 최소작용의 원리, 카오스, 엔트로피, 양자역학, 단진동까지 물리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들을 차분히 소개하면서 물리라는 새로운 언어를 통해 우리 존재와 삶, 죽음의 문제부터 타자와의 관계, 세계에 관한 생각까지 새로운 틀에서 바라볼 수 있게 안내한다.

우리의 몸과 마시는 공기, 발을 딛고 서있는 땅과 흙, 그리고 매일 마주하는 노트북 모니터와 휴대전화까지. 세계의 모든 존재들은 모두 ‘원자’라는 아주 작은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저자는 이 작고도 작은 단위까지 내려가 우리 존재부터 우주라는 커다란 세계까지 들여다보고 질문하고 우리가 생각의 타래를 열 수 있게 해준다.


북소믈리에 한마디!

저자는 원자의 기준으로는 인간의 탄생과 죽음이 단지 원자들이 모였다가 흩어지는 것과 다르지 않은 일이라고 이야기하면서 나의 존재를 이루는 것들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죽음을 어떻게 성찰할 수 있을지, 타자와 나의 차이는 무엇인지까지 엄밀한 과학의 정답을 제시하는 대신 물리학자만이 안내할 수 있는 새로운 시선을 제시해준다.

목차

목차 일부

목차

프롤로그 

1부 분주한 존재들 - 138억 년 전 그날 이후, 우리는 우리가 되었다 
[빛] 138억 년 전, 처음으로 반짝이던 
[시공간] 시간과 공간의 탄생 
[우주] 세계의 존재 이유를 안다는 것 
[원자] 우리를 이루는 것, 세상을 이루는 것 
[전자] 모두 같으면서, 모두 다르다 
- 생명이 존재하려면 『미토콘트리아』 
...

목차 전체

목차

프롤로그 

1부 분주한 존재들 - 138억 년 전 그날 이후, 우리는 우리가 되었다 
[빛] 138억 년 전, 처음으로 반짝이던 
[시공간] 시간과 공간의 탄생 
[우주] 세계의 존재 이유를 안다는 것 
[원자] 우리를 이루는 것, 세상을 이루는 것 
[전자] 모두 같으면서, 모두 다르다 
- 생명이 존재하려면 『미토콘트리아』 
- 물리학자가 바라본 존재의 차이, 차이의 크기 
- 크기가 말하는 것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존재의 크기에 관하여 ‘위상수학’이란 무엇인가 

2부 시간을 산다는 것, 공간을 본다는 것 - 세계를 해석하는 일에 관하여 
[최소작용의 원리] 미래를 아는 존재에게 현재를 산다는 것 
[카오스] 확실한 예측은 오직 
[엔트로피] 어제가 다시 오지 않는 이유 
[양자역학] 우리는 믿는 것을 본다 
[이중성] 대립적인 것은 상보적인 것 
- 지구에서 본 우주, 달에서 본 우주 
- 달을 가리키는데 왜 손가락을 보는가? <인터스텔라> 
- 물리학자에게 ‘우연’이란 「바빌로니아의 복권」, 『픽션들』 

3부 관계에 관하여 - 힘들이 경합하는 세계 
[중력] 서로가 서로에게 낙하한다 
[전자기력] 존재의 떨림으로 빈 곳은 이어진다 
[맥스웰 방정식] 현대 문명의 모습을 결정한 수식 
[환원·창발] 많은 것은 다르다 
[응집물리] 우선은 서로 만나야 한다 
- 인공지능에게 타자란 <엑스 마키나> 
- 세계의 온도는 표준편차가 결정한다 

4부 우주는 떨림과 울림 - 과학의 언어로 세계를 읽는 법 
[에너지] 사라지는 것은 없다, 변화할 뿐 
[F=ma] 세상은 운동이다 
[단진동] 우주는 떨림과 울림 
[인간] 우주의 존재와 인간이라는 경이로움 
- 상상의 질서, 그것을 믿는 일에 관하여 『사피엔스』 
- 인간의 힘으로 우주의 진리를 알아가는 것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부록 
 지식에서 태도로 - 불투명한 세계에서 이론물리학자로 산다는 것

저자소개

저자가 속한 분야
과학자/공학자  > 물리학자 
  
김상욱  물리학자. 
“조용히 따라가다 보면, 엄청난 우주의 신비를 알게 됩니다.”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고등학생 때 양자물리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후, 카이스트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상대론적 혼돈 및 혼돈계의 양자 국소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포스텍, 카이스트, 독일 막스-플랑크 복잡계 연구소 연구원, 서울대학교 BK조교수, 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를 거쳐, 2018년부터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물리에 관심이 많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앎을 공유하는 것을 행복하게 생각합니다. 과학을 널리 알릴수록 사회에 과학적 사고방식이 자리 잡을 것이고, 그러면 이 세상이 좀 더 행복한 곳이 될 거라 믿고 있습니다. 물론 과학을 이야기하는 그 자체가 좋아서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지은 책으로 『김상욱의 과학공부』, 『김상욱의 양자 공부』 등이 있습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