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다시, 책으로 :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Wolf, Maryanne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Wolf, Maryanne
전병근
서명/저자사항다시, 책으로 :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 매리언 울프 지음 ; 전병근 옮김.
발행사항서울 : 어크로스, 2019.
형태사항359 p. ; 22 cm.
원서명Reader, come home : [the reading brain in a digital world]
ISBN9791190030052
서지주기주(p. 313-353), 색인(p. 354-359) 포함
비통제주제어독서,책읽기,,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33398 418.4019 W854r전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533399 418.4019 W854r전 c.2 중앙도서관/제2보존서고/ 대출중 2023-08-09 예약가능
인쇄

초록

목차 일부

우리의 ‘읽는 뇌’가 처한 심각한 현실!

“인류는 책을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다”고 단언하며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킨 매리언 울프가 다시 한 번 우리의 읽는 뇌에 대해 이야기하는 『다시, 책으로』. 과학적 연구와 문학적 상상력 위에서 읽기와 뇌의 상관관계에 대한 빛나는 통찰을 보여주는 책이다. 인간이 읽는 능력을 타고나지 않았으며, 문해력은 호모사피엔스...

목차 전체

우리의 ‘읽는 뇌’가 처한 심각한 현실!

“인류는 책을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다”고 단언하며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킨 매리언 울프가 다시 한 번 우리의 읽는 뇌에 대해 이야기하는 『다시, 책으로』. 과학적 연구와 문학적 상상력 위에서 읽기와 뇌의 상관관계에 대한 빛나는 통찰을 보여주는 책이다. 인간이 읽는 능력을 타고나지 않았으며, 문해력은 호모사피엔스의 가장 중요한 후천적 성취 가운데 하나임을 강조해 온 저자는 하루에 6~7시간씩 디지털 매체에 빠져 있는 청소년들을 목격하면서 그들 뇌의 읽기 회로가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시작했고, 방대한 연구와 조사 결과, 다양한 최신 자료들을 인용하며 오늘날 우리의 읽기 방식이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쉴 새 없이 쏟아지는 디지털 세계의 엄청난 정보들은 새로움과 편리함을 가져다준 대신 주의집중과 깊이 있는 사고를 거두어갔다. 디지털 읽기에서는 훑어보기가 표준 방식이 되는데, 이런 방식은 세부적인 줄거리를 기억하거나 주장의 논리적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처럼 쉴 새 없이 디지털 기기에 접속하며 순간접속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뇌가 인류의 가장 기적적인 발명품인 읽기(독서), 그중에서도 특히 ‘깊이 읽기’의 능력을 상실해가고 있는 것이다.

목차

목차 일부

옮긴이의 말

첫 번째 편지 
읽기, 정신의 카나리아

두 번째 편지 
커다란 서커스 천막 아래: 읽는 뇌에 관한 색다른 관점

세 번째 편지 
위기에 처한 깊이 읽기

네 번째 편지 
“독자였던 우리는 어떻게 될까?”

다섯 번째 편지 
디지털로 양육된 아이들

여섯 번째 편지 
첫 5년 사이, 무릎에서 컴퓨터로: 너무 빨리 옮겨가지 마세요

일곱 번째 ...

목차 전체

옮긴이의 말

첫 번째 편지 
읽기, 정신의 카나리아

두 번째 편지 
커다란 서커스 천막 아래: 읽는 뇌에 관한 색다른 관점

세 번째 편지 
위기에 처한 깊이 읽기

네 번째 편지 
“독자였던 우리는 어떻게 될까?”

다섯 번째 편지 
디지털로 양육된 아이들

여섯 번째 편지 
첫 5년 사이, 무릎에서 컴퓨터로: 너무 빨리 옮겨가지 마세요

일곱 번째 편지 
어떻게 읽기를 가르쳐야 할까

여덟 번째 편지 
양손잡이 읽기 뇌 만들기

아홉 번째 편지 
독자들이여, 집으로 오세요

감사의 말

저자소개

저자 : 매리언 울프

인지신경학자이자 아동발달학자. 읽는 뇌 분야의 세계적 연구자다. 하버드 교육대학원에서 인간발달 및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뇌, 언어, 난독증에 대한 인지신경과학과 심리언어학 연구를 시작했다. 현재 UCLA 교육정보대학원에서 설립한 난독증, 다양한 학습자 및 사회정의 센터(Center for Dyslexia, Diverse Learners, and Social Justice) 책임자이며 채프먼 대학교 프레지던셜 펠로(Presidential Fellow)다.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