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

Welfel, Elizabeth Reynolds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Welfel, Elizabeth Reynolds, 1949-
서영석
조화진
최바올
김민선
서명/저자사항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 / Elizabeth Reynolds Welfel 지음 ; 서영석 [외]옮김.
발행사항서울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2020.
형태사항xiii, 410 p. ; 26 cm.
원서명Ethic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standards, research, and emerging issues(6th ed.)
ISBN9791190151955
일반주기 공옮긴이: 조화진, 최바올, 김민선
부록: A, 미국상담학회 윤리강령. - C, 미국학교상담사협회의 학교상담사를 위한 윤리적 표준. - D,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화된 윤리강령 및 지침 목록.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색인(p. 409-410) 포함
비통제주제어상담,심리치료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41980 174.915 W4452e6서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41981 174.915 W4452e6서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상담과 관련된 법적, 윤리적 이슈에 대한 상담사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크다. 상담사 스스로를 보호하면서 내담자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임상적 지식과 기술뿐 아니라 상담장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딜레마를 합리적이고 민감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문가다움’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

상담사들은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다양...

목차 전체

상담과 관련된 법적, 윤리적 이슈에 대한 상담사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크다. 상담사 스스로를 보호하면서 내담자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임상적 지식과 기술뿐 아니라 상담장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딜레마를 합리적이고 민감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문가다움’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

상담사들은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다양한 윤리적 이슈와 딜레마를 접하면서, 상담과 관련된 ‘원칙’들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담사가 지향해야 할 이상적 행동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비윤리적인 행동을 예방하고 조정하려는 노력도 필요하고, 내담자의 문제해결과 치유를 위해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상담전문직의 ‘윤리적 이상’에 가까워지려는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

목차

목차 일부

제1부 전문적인 윤리적 가치와 표준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
1장 전문가 윤리: 윤리적 수행을 위한 심리와 철학3
|윤리적 수행의 토대 및 자원4
|발달심리 문헌5
|윤리강령9
|철학 관련 문헌12
|신경과학 문헌14
|전문가 윤리에 대한 연구14
|윤리와 법19
|개인적인 가치와 직업적인 가치가 충돌할 때21
|긍정 윤리와 위기관리21
|요약22
토론 질문2...

목차 전체

제1부 전문적인 윤리적 가치와 표준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
1장 전문가 윤리: 윤리적 수행을 위한 심리와 철학3
|윤리적 수행의 토대 및 자원4
|발달심리 문헌5
|윤리강령9
|철학 관련 문헌12
|신경과학 문헌14
|전문가 윤리에 대한 연구14
|윤리와 법19
|개인적인 가치와 직업적인 가치가 충돌할 때21
|긍정 윤리와 위기관리21
|요약22
토론 질문22

2장 윤리적 실무를 위한 모델: 자원을 활용해서 개인의 판단과 윤리적 결정 향상시키기25
|윤리적 추론의 형태25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27
|요약48
토론 질문48
토론 사례49

3장 다문화사회에서의 윤리적 실천: 정의에 대한 약속51
|다문화상담 용어53
|다문화사회에서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토대53
|현재의 윤리적 실무 맥락54
|다문화 실무 관련 윤리강령56
|다양한 집단과 일할 때 필요한 역량57
|윤리강령에 대한 비판60
|다문화 역량에 대한 오해62
|내담자가 편견에 사로잡힌 생각을 말할 때63
|토론과 분석을 위한 사례64
|다문화 역량: 사례 적용67
|종교적 가치와 다양한 내담자를 상담하는 것 사이에서의 갈등69
|토론을 위한 추가 사례70
|요약70
토론 질문71

제2부 상담사와 치료사를 위한 주요 윤리적 이슈
4장 상담 역량:선을 행하고 해를 피하기 위한 기초를 세우고 유지하기75
|전문적 역량의 요소75
|상담 실무를 위한 직업적 기준79
|역량의 한계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81
|고통, 소진, 그리고 다른 역량의 문제87
|무능한 실무의 법률적 함의91
|요약93
토론 질문93
토론 사례94

5장 비밀보장: 내담자의 존엄과 사생활 권리를 지지하기95
|비밀보장에 담겨있는 윤리 원칙과 미덕97
|비밀보장에 관한 윤리강령97
|비밀보장과 다른 정신건강전문가들과의 의사소통97
|비밀보장과 내담자의 다른 중요한 사람들과의 소통99
|비밀보장과 특권적 의사소통(privileged communication)100
|비밀보장의 한계102
|특별한 내담자 집단에 대한 비밀보장116
|다문화적 맥락에서의 비밀보장120
|비밀보장에 대한 새로운 과제: 관리 의료, 기술, 그리고 기관에서의 폭력121
|비밀보장과 살인-자살의 위협126
|요약127
|10단계 모형을 사용한 비밀보장 사례 분석128
토론 질문131
토론 사례132

6장 고지된 동의: 내담자의 선택의 자유를 확인하는 일133
|고지된 동의의 역사134
|잠재되어 있는 윤리적 원리들과 미덕들135
|고지된 동의에 대한 윤리강령들136
|고지된 동의 및 건강 보험 이동 및 책임 보험(HIPAA)138
|고지된 동의에 대한 접근들138
|윤리적, 임상적, 그리고 다양성 존중의 상호작용141
|소수자들과 특별한 집단에의 적용143
|법원의 위임하에 이루어지는 상담145
|평가에서의 고지된 동의146
|고지된 동의에 관한 연구 결과들146
|요약148
토론 질문148
토론 사례149

7장 내담자, 학생, 수련생 및 연구 참가자와의 성적 관계: 권위와 신뢰 위반151
|금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152
|내담자가 부당 행위에 대항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152
|직업 및 전문가에게 미치는 영향155
|문제의 원인과 범위157
|이전 내담자와의 성적 접촉: 논쟁과 모순된 규칙들159
|온라인, 교육, 협의 및 고용 상태에서 성적 접촉163
|성적 느낌과 성적 비행의 구별165
|성적이지 않은 상담에서의 신체 접촉167
|피해자를 위한 효과적인 후속치료 제공하기170
|사례 재검토171
|요약173
토론 질문174
토론 사례174

8장 성적이지 않은 다중 관계와 경계 문제: 객관성의 위협과 내담자 복지177
|용어의 정의179
|다중 관계에 잠재하고 있는 역동들183
|윤리학자들의 관점186
|의사결정시 고려할 질문들187
|연구성과들: 상담사와 내담자의 견해들188
|내담자로부터 선물 받기189
|시골과 소규모 공동체 상담에서의 경계 확장과 다중 관계191
|물물 교환의 윤리194
|사례 재검토195
|요약197
토론 질문198
토론 사례198

9장 집단, 커플, 가족 개입: 특별한 윤리적 책임201
|집단상담과 심리치료202
|가족과 커플상담과 심리치료211
|요약217
토론 질문218
토론 사례218

10장 평가 윤리: 책임 있는 방식으로 공정한 절차 따르기221
|진단 윤리221
|검사 윤리227
|요약241
토론 질문242
토론 사례242

제3부 비윤리적 행동의 예방과 사후대처: 이전과 이후의 윤리
11장 비윤리적 행동 예방 기회를 극대화하고 예방이 실패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247
|일차 예방247
|예방에 실패했을 때249
|공식 징계 절차250
|윤리적 불만 제기 절차250
|불만 처리를 통한 내담자 지원255
|윤리적 제소에 대한 대응256
|자기 검열: 제소가 없더라도 책임지기257
|회복의 3단계 모델259
|요약262
토론 질문263
토론 사례263

제4부 특별 환경에서의 윤리적 이슈
12장 지역사회, 대학, 법적 환경에서의 윤리: 이해관계의 충돌 방지269
|내담자에 대한 책임269
|동료에 대한 책임282
|제3자에 대한 책임284
|대학 상담 윤리288
|중독상담 윤리289
|코칭 윤리290
|법적 활동 윤리291
|요약294
토론 질문295
토론 사례296

13장 학교상담전문가: 학교문화에 전문적 기준 적용하기297
|열린 의사소통 문화에서 상담사의 역할297
|학교정책 및 학교상담사의 역할302
|법적인 문제: 주(州) 및 연방 정부의 법규304
|학교상담사의 책임: 새로운 현실 또는 불안한 공포?306
|학교 폭력: 법률 및 윤리적 차원309
|졸업 후 계획에서의 윤리적 문제312
|학교 집단상담의 윤리313
|또래 지원 프로그램의 윤리314
|요약315
토론 질문316
토론 사례316

14장 슈퍼비전과 자문에서의 윤리: 책임감 있는 행동의 모델링319
|슈퍼비전 역량321
|슈퍼바이저 권력의 책임감 있는 사용322
|다문화 슈퍼비전328
|내담자의 복지에 대한 책임330
|경계의 문제331
|슈퍼비전의 법적인 측면334
|제3자들과의 관계336
|자문337
|요약340
토론 질문341
토론 사례341

15장 교사와 연구자로서의 상담사와 치료자: 진실성, 과학, 보살핌343
|가르침의 윤리343
|연구윤리354
|상담 및 치료 연구원을 위한 특별 윤리적 관심사359
|요약361
토론 질문361
토론 사례362

부 록
A. 미국상담학회 윤리강령365
|ACA 윤리규정 전문365
|ACA 윤리규정의 목표365
|Section A: 상담 관계366
|Section B: 비밀보장과 사생활371
|Section C: 전문적 책임373
|Section D: 다른 전문가들과의 관계376
|Section E: 평가, 사정, 해석377
|Section F: 수련감독, 훈련, 교육380
|Section G: 연구 및 출판385
|Section H: 원거리상담, 기술, 소셜미디어387
|Section I: 윤리적 문제해결(resolving ethical issues)390
C. 미국학교상담사협회의 학교상담사를 위한 윤리적 표준393
|전문393
|B. 부모/보호자에 대한 책임397
|C. 동료 및 전문가에 대한 책임398
|D. 학교, 지역사회, 그리고 가족에 대한 책임399
|E. 자신에 대한 책임399
|F. 전문가에 대한 책임400
|G. 표준의 유지401
D.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화된 윤리강령 및 지침 목록403
찾아보기409

저자소개

저자 : Elizabeth Reynolds Welfel

현재 클리블랜드 주립대학의 명예교수다. 웰펠 교수는 보스턴 칼리지에서 상담 교수로 재직했고, 1979년 미네소타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기 전까지 그곳에서 강사를 역임했다. 웰펠 교수는 이 책 이외에도 ‘상담 과정(Counseling Process)’를 공동으로 집필했고, ‘정신건강 책장 서적(Mental Health Desk Reference)’과 ‘보호할 의무(Duty to Protect)’를 공동 편집했으며, 전문적 실무에서의 윤리적 현안에 관한 수많은 논문과 북챕터를 저술했다. 웰펠 교수는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상담 실무에서 과학기술의 윤리적 사용, 내담자가 자신 또는 타인에게 위협이 될 때 전문가로서의 책임, 책임 있는 실무를 증진시키기 위한 윤리 교육 설계 등에 특별히 관심이 있다. 그 어떤 실무자도 과오를 범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윤리적 과오가 발생한 것으로 실무자가 깨달았을 때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관해서도 웰펠 교수는 다양한 저술을 출판한 바 있다. 웰펠 교수가 이런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미네소타대학 대학원생이었을 때부터였는데, 그곳에서 성인기의 도덕적/지적 발달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녀는 성인들이 삶 속에서 경험하는 도덕적/지적 딜레마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 매료되었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결국에는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의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독특한 도덕적 딜레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웰펠 교수는 상담 분야에서의 우수한 강의와, 직업윤리에 관한 학문적 성취를 인정받아 클리블랜드 주립대학으로부터 최우수 교수상을 수상하였다.



역자 : 서영석

환경과 자발적 선택의 결합으로 심리학(고려대학교)과 상담심리학(미네소타대학교 석사 및 박사)을 공부하게 되었다. 출발은 개인적인 상처를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함이었지만, 생각보다 길어진 과정 속에서 남을 이해하는 아픈 경험을, 버티고 살아가는 남 같지 않은 이들을 존경하고 또 조력하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지금은 연세대학교 교육학부에서 대학생, 대학원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관계에서 경험하는 고통과 상처, 습관화된 부적응에도 관심이 가지만, 개인적인 경험과 성격상 이겨내고 성장하게 하는 동인과 힘이 무엇인지 궁금하고 찾고 싶다. 소수자에게도, 따돌림과 차별을 경험하는 청소년에게도, 안정의 부재와 애착의 결여로 힘들어하는 모든 이들에게 관심이 가는 이유다.



역자 : 조화진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상담교육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한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과장, 한국인간발달학회와 한국생애개발상담학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한남대학교 인성교육센터장과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상담과정과 성과로,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상담자의 전문적·다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외에도 애착, 긍정심리학의 행복을 비롯하여 사회적 유대감과 공감 등 개인의 성장과 적응에 미치는 사회의 영향력에 관해 관심을 갖고 연구 중에 있다.



역자 : 최바올

연세대학교 인문학부에서 심리학과 영문학을 전공하고, 교육학과에서 상담교육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상담센터에서 실습 수련을 받았으며, 한국청소년상담원(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인턴과정을 수료한 후, 경인교육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전임상담원으로 근무하였다. 현재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에 재직 중이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전문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교육과 연구 뿐 아니라 상담과 상담수련감독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성격, 자기애, 애착, 여성, 긍정심리학 등이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