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창남
서명/저자사항대중문화의 이해 / 김창남 지음.
판사항전면2개정판.
발행사항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 2020.
형태사항392 p. : 삽화 ; 23 cm.
대등서명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ISBN9788946069022
서지주기각 장마다 참고문헌, 색인 포함
비통제주제어대중문화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44074 301.2 김81125ㄷ3-19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44075 301.2 김81125ㄷ3-19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일상과 문화를 낯설게 바라보면서 그 속에 숨은 의미를 깨닫다!

이론과 담론이 아닌, 한국 사회의 역사와 현실을 통해 본 실질적인 대중문화 이해 지침서“한류가 국가적 아젠다로 떠오른 것은 그것이 가진 문화적 의미에 주목해서라기보다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류 붐은 마치 한류가 우리 경제를 새롭게 도약시킬 황금 광맥이라도...

목차 전체

일상과 문화를 낯설게 바라보면서 그 속에 숨은 의미를 깨닫다!

이론과 담론이 아닌, 한국 사회의 역사와 현실을 통해 본 실질적인 대중문화 이해 지침서“한류가 국가적 아젠다로 떠오른 것은 그것이 가진 문화적 의미에 주목해서라기보다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류 붐은 마치 한류가 우리 경제를 새롭게 도약시킬 황금 광맥이라도 되는 듯한 과잉 기대를 가져왔다.(중략) 하지만 문화보다 경제를 앞세우며 단기적인 가시적 성과를 노리는 전략은 늘 실패하기 마련이다. 한류 붐은 2000년대 중반을 고비로 잦아들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 본문 중에서

2003년 전면개정판 이후 7년 만에 다시 나온 이 책은 시간의 무게만큼이나 묵직하고 세월의 변화만큼이나 새로운 주제로 다시금 대중문화의 속살을 드러내 보여준다.

이 책은 총 4부, 2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대중문화의 이론''''에서는 대중문화와 관련된 개념과 다양한 이론을 다룬다. 늘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얼핏 쉬워 보일 법한 대중문화라는 것이 의외로 정의하기 매우 까다로운 개념이며 갈등과 투쟁이 개입되는 장으로서 결코 가볍게 바라볼 수 없는 것임을 1부의 논의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2부 ''''한국의 사회 변동과 대중문화''''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한국 사회라는 장에서 펼쳐진 대중문화의 변화상을 알아본다. 대중문화에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그대로 묻어난다. 따라서 한국사에서 가장 격동적인 시기였던 20세기의 대중문화 또한 커다란 변화의 소용돌이 한가운데에 놓여 있었다. 가요, 영화, 방송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일어난 변화를 짚어가다 보면 당시 우리 사회와 일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3부에서는 ''''디지털, 인터넷, 모바일'''' 등의 키워드로 이야기되는 21세기 한국 사회와 대중문화의 문제들을 살펴본다. 3부는 1부에서 다룬 대중문화의 이론을 적용해보고, 2부에서 논의한 우리 사회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의 시공간적 바탕을 확장하며, 4부에서 다룰 논의를 예비하는 단계로서 중요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마지막 4부 ''''대중문화, 대중 주체의 문화''''에서는 스타 시스템, 팬덤, 스포츠, 섹슈얼리티 등 오늘날 대중문화의 핵심 쟁점을 다룬다. 여기서는 이 책의 결론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문화의 생산과 소비에서 대중이 주체가 되기 위해 대중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할 것인지와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해본다.

목차

목차 일부

제1부 대중문화의 이론

01 문화란 무엇인가
02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03 대중의 취향과 대중문화의 미학
04 대중문화와 지배 이데올로기 1
05 대중문화와 지배 이데올로기 2
06 대중문화의 생산과 소비

제2부 한국의 사회 변동과 대중문화

07 일제강점기의 매스미디어와 대중문화
08 한국전쟁과 대중문화
09 근대화 시대의 대중문화
10 1980년대의...

목차 전체

제1부 대중문화의 이론

01 문화란 무엇인가
02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03 대중의 취향과 대중문화의 미학
04 대중문화와 지배 이데올로기 1
05 대중문화와 지배 이데올로기 2
06 대중문화의 생산과 소비

제2부 한국의 사회 변동과 대중문화

07 일제강점기의 매스미디어와 대중문화
08 한국전쟁과 대중문화
09 근대화 시대의 대중문화
10 1980년대의 대중문화와 문화운동
11 민주주의 이행기의 대중문화
12 세계화 시대 문화산업과 민족문화

제3부 21세기 한국 사회와 대중문화의 문제들

13 청년문화, 청소년문화, 대학문화, 비주류문화
14 디지털 혁명과 대중문화
15 모바일과 온라인 시대의 일상과 문화의 변화
16 한류와 아시아의 문화정체성
17 디지털 시대 시민사회와 대중지성
18 대안문화 담론의 변화와 문화운동의 새로운 모색

제4부 대중문화, 대중 주체의 문화

19 스타와 스타 시스템
20 팬과 마니아
21 대중문화 시대의 스포츠
22 육체의 문화, 성의 문화
23 호모루덴스, 놀이하는 인간
24 문화의 주체가 되기 위하여

저자소개

저자 : 김창남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1980년대부터 문화평론가로 활동해왔으며, 월간 ≪말≫, ≪사회평론≫, 계간 ≪민족예술≫ 등의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대중음악학회 회장,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장, 사단법인 우리만화연대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_『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대중문화의 이해』

편저_『김민기』, 『노래1』, 『노래2』, 『노래3』, 『노래4』, 『노래운동론』, 『대중음악과 노래운동, 그리고 청년문화』, 『아름다운 인생의 승부사들』, 『꿈꾀끼꼴깡』, 『너만의 브랜드를 가져라』, 『아뿔싸, 나는 성공하고 말았다』

공저 및 공역_『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문화, 일상, 대중』, 『문화이론사전』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