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론

김명광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명광
서명/저자사항(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론 / 김명광 저.
발행사항서울 : 소통, 2019.
형태사항561 p. : 삽화 ; 26 cm.
ISBN9791186453780
일반주기 부록: 1, 외적 사용 맥락. - 2, 유럽 공통참조기준의 일반참조 수준 : 범용 척도. - 3, 영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및 고등학교 공통 내용 체계표. 외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485-508), 색인(p. 532-561) 포함
비통제주제어한국어교육,외국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44851 495.707 김341ㅎ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544852 495.707 김341ㅎ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외국어(또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관련된 국내외 교육과정,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의 차이, 그리고 그 유형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책이다. 중반부에서는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설계에 집중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의사소통의 개념, 교육과정의 변천, 설치 항목, 목표와 내용, 그리고 설계의 기본 원리를 제시하였다.

후반부에는 ...

목차 전체

외국어(또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관련된 국내외 교육과정,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의 차이, 그리고 그 유형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책이다. 중반부에서는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설계에 집중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의사소통의 개념, 교육과정의 변천, 설치 항목, 목표와 내용, 그리고 설계의 기본 원리를 제시하였다.

후반부에는 중반부에 논의된 사항을 바탕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화별’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각 기술별 특성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학습자들의 수준별로 어떤 내용이 필요한지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였다. 각 장에 ‘요약’ 부분과, ‘토론과 과제’ 부분을 두었다.

목차

목차 일부

제1장 한국어 교육과정 개관
1. 들어가는 말
2. 교육과정의 일반적 개념
2.1 정의
2.2 구성 요소
2.3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평가
3.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념
3.1 정의
3.2 사회적 공감과 압력
3.3 항목 별 진술
4. 요약
5. 토론과 과제
6. 참고 사이트
제2장 교육과정의 유형
1. 들어가는 말
2. 교육 목적...

목차 전체

제1장 한국어 교육과정 개관
1. 들어가는 말
2. 교육과정의 일반적 개념
2.1 정의
2.2 구성 요소
2.3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평가
3.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념
3.1 정의
3.2 사회적 공감과 압력
3.3 항목 별 진술
4. 요약
5. 토론과 과제
6. 참고 사이트
제2장 교육과정의 유형
1. 들어가는 말
2. 교육 목적에 따른 유형 분류
3. 정책 결정자에 따른 유형 분류
3.1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3.2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3.3 학생 수준의 교육과정
4. 요약
5. 토론과 과제
6. 참고 사이트
제3장 국내외 외국어 교육과정
1. 들어가기
2. 유럽 공통참조기준
2.1 유럽 공통참조기준의 개발 배경
2.2 다양성과 유럽 공통참조기준
2.3 유럽 공통참조기준 내용
3. 국내 영어과 교육과정
4. 미국 외국어교육위원회 평가기준(ACTFL)
5. 국내 한국어능력시험 평가기준(TOPIK)
6. 요약
7. 토론과 과제
8. 참고 사이트
제4장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1. 들어가는 말
2. 교수요목과 교육과정
3. 문법-구조 교수요목(Grammatical-structural syllabus)
4. 상황-맥락 교수요목(Situation contextual syllabus)
5. 기능-개념 교수요목(Functional notion syllabus)
6. 요약
7. 토론과 과제
제5장 의사소통 교수요목
1. 들어가는 말
2. 의사소통능력 개념
2.1 의사소통능력 개념의 태동
2.2 교육적 차원의 의사소통 개념
2.3 의사소통능력 하위 체계
2.4 평가 차원 의사소통 개념
3. 의사소통 교수 항목과 내용 구성
4. 요약
5. 토론과 과제
제6장 의사소통 교수요목 유형
1. 들어가는 말
2. 분석적 교수요목(Analytic syllabus)
2.1 분석적 교수요목 개념
2.2 유형1: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교수요목
(Structural and functional syllabus)
2.3 유형2: 구조와 기능 교수요목
(Structures and functions syllabus)
2.4 유형3: 변수 초점 교수요목(Variable focus syllabus)
2.5 유형4: 기능적 교수요목(Functional syllabus)
2.6 유형5: 완전 개념 교수요목(Fully notional syllabus)
2.7 유형6: 완전 의사소통 교수요목(Fully communicative syllabus)
3. 과제 기반 교수요목(Task-based syllabus)
3.1 과제 기반 교수요목 개념
3.2 과정 중심 교수요목(Processes syllabus)
3.3 절차 중심 교수요목(Procedural syllabus)
3.4 과제 중심 교수요목(Task-based language teaching)
4. 내용 기반 교수요목(Content-based syllabus)
4.1 내용 기반 교수요목의 개념
4.2 주제 중심 교수요목(Theme-based language instruction)
4.3 내용 보호 교수요목(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4.4 병존 언어 교수요목(Adjunct language instruction)
4.5 세 모형의 주요 특징
5. 균형 있는 교수요목(Proportional syllabus)
6. 요약
7. 토론과 과제
제7장 요구 조사
1. 요구 조사의 개념
2. 요구 조사 유형
2.1 목표 요구(Target Needs)
2.2 학습 상황 요구(Learning Needs)
3. 요구 조사 내용
3.1 거시적 요구 조사
3.2 미시적 요구 조사
4. 요구 조사 방법
4.1 정보 수집 방법 유형
4.2 요구 조사 원리
5. 요구 분석
6. 요약
7. 토론과 과제
제8장 교육 영역과 교과목
1. 들어가는 말
2. 상위 영역과 교과목
3. 문화 영역
3.1 문화 항목
3.2 문화 교육 목표와 내용
3.3 수준별 문화 교육
4. 실용 영역
5. 요약
6. 토론과 과제
제9장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 기술의 원리 I
1. 들어가는 말
2. 행동 진술성
2.1 Tyler(1950)
2.2 Mager(1962)
2.3 Gronlund(1973)
2.4 Gagne 외(1979)
2.5 김영심(2016)
3. 위계성(hierarchy)
4. 포괄성(coverage)
5. 사용 빈도성(Frequency)
6. 요약
7. 토론과 과제
제10장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 기술의 원리 II
1. 들어가는 말
2. 계열성(Sequence)
2.1 개념
2.2 적용
3. 계속성(Continuity)
3.1 개념
3.2 적용
4. 나선형(Spiral Form)
4.1 개념
4.2 적용
5. 통합성(Integration)
5.1 개념
5.2 적용
6. 난도(Difficulty)
6.1 개념
6.2 적용
7. 요약
8. 토론과 과제
제11장 듣기 교육과정
1. 들어가는 말
2. 듣기 실제성
2.1 듣기 표현의 실제성
2.2 듣기 영역의 실제성
2.3 듣기 현장의 실제성
3. 듣기의 주제
4. 듣기의 기능
5. 언어 지식별 듣기 이해
6. 듣기 전략
7. 듣기 평가
7.1 듣기 평가의 목표
7.2 한국어 듣기 평가의 범주
8. 듣기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 기술
9. 요약
10. 토론과 과제
제12장 말하기 교육과정
1. 들어가는 말
2. 말하기의 실제성
3. 말하기의 주제와 기능
4. 언어 지식별 말하기
5. 말하기 전략
6. 말하기 평가
6.1 말하기 평가의 목표
6.2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범주
7. 말하기 교육과정 목표 및 내용 기술
8. 요약
9. 토론과 과제
제13장 읽기 교육과정
1. 들어가는 말
2. 읽기의 실제성
3. 읽기의 주제와 텍스트 유형
4. 읽기 기능
5. 언어 지식별 읽기
6. 읽기 전략
7. 읽기 평가
8. 원리에 따른 읽기 교육과정 구성
9. 요약
10. 토론과 과제
제14장 쓰기 교육과정
1. 들어가는 말
2. 쓰기의 실제성
3. 쓰기의 주제와 텍스트 유형
4. 쓰기 기능
5. 언어 지식별 쓰기
6. 쓰기 전략
7. 쓰기 평가
8. 원리에 따른 쓰기 교육과정 구성
9. 요약
10. 토론과 과제
참고문헌
부 록
색 인

저자소개

2016년 현 대구대학교 국제한국어교육과 교수, 미국 Murray State University 초빙교수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