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포스트휴머니즘의 유래와 도래

신승환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신승환
서명/저자사항포스트휴머니즘의 유래와 도래 / 신승환 지음.
발행사항서울 : 서강대학교출판부, 2020.
형태사항319 p. ; 24 cm.
총서사항서강학술총서 ; 127
ISBN9788972733669
9788972731399(세트)
서지주기참고문헌(p. 302-310), 색인(p. 311-319) 포함
비통제주제어포스트휴머니즘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45737 144 신586ㅍ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10-04 예약가능
인쇄
2 E545738 144 신586ㅍ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10-06
인쇄

초록

목차 일부

근대성을 감내하면서 극복하는 길, 탈근대의 철학이 모색해야할 새로움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서 시작될 것이다. 그것은 지난 300년에 걸친 서구 철학의 한계를 극복 하고 새로운 체제를 이끌어내는 노력과 함께 한다. 그 계기와 실마리를 여기서는 서구 휴머니즘을 넘어서는 그 이후의 인간 이해를 통해 찾고자 한다. 이러한 인간 이해의 새 로움을 여기서는 탈근...

목차 전체

근대성을 감내하면서 극복하는 길, 탈근대의 철학이 모색해야할 새로움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서 시작될 것이다. 그것은 지난 300년에 걸친 서구 철학의 한계를 극복 하고 새로운 체제를 이끌어내는 노력과 함께 한다. 그 계기와 실마리를 여기서는 서구 휴머니즘을 넘어서는 그 이후의 인간 이해를 통해 찾고자 한다. 이러한 인간 이해의 새 로움을 여기서는 탈근대적 인간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탈근대적 인간이해를 위 해 이 책은 우선적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유래와 도래에 대한 논의를 펼쳐가고자 한다.

목차

목차 일부

포스트휴머니즘의 유래와 도래 1
1. 휴머니즘의 기원  2
2.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현재  8
제1장  휴머니즘의 유래와 특성 13
1. 휴머니즘의 기원 14
1) 휴머니즘은 무엇을 말하는가/14
2) 헬레니즘 시기 휴머니즘의 기원/17
2. 휴머니즘의 발흥과 내용 20
1) 르네상스 시기의 휴머니즘/20
2) 휴머니즘의 철학/24
3. 근대 계몽주의와 ...

목차 전체

포스트휴머니즘의 유래와 도래 1
1. 휴머니즘의 기원  2
2.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현재  8
제1장  휴머니즘의 유래와 특성 13
1. 휴머니즘의 기원 14
1) 휴머니즘은 무엇을 말하는가/14
2) 헬레니즘 시기 휴머니즘의 기원/17
2. 휴머니즘의 발흥과 내용 20
1) 르네상스 시기의 휴머니즘/20
2) 휴머니즘의 철학/24
3. 근대 계몽주의와 휴머니즘 27
1) 독일 계몽주의의 휴머니즘 수용/27
2) 반휴머니즘적 인간이해/31
3) 휴머니즘의 인문주의/34
4. 휴머니즘과 인간의 역할 - 일 개념 38
1) 일과 인간-헬레니즘 시대/38
2) 그리스도교 휴머니즘에서의 일/42
3) 계몽주의 시대 노동의 탄생/46
4) 산업혁명과 노동/51
제2장  현대문화의 특성 59
1. 현대문화의 특성 60
1) 4차 산업혁명 담론/60
2) 4차 산업혁명의 문화적 상황/63
3) 4차 산업혁명의 특성/67
2. 산업 발달의 역사 73
1) 산업혁명의 시대/73
2) 4차 산업혁명의 시대사적 특성/76
3. 기술의 본질과 이해체제의 전환 79
1) 현대 기술의 본질/79
2) 기술 이해의 전환/85
3) 일 개념의 변화와 노동의 소외/88
4. 자연이해의 변화와 생태위기 92
1) 생태계 위기/92
2) 생태계 위기와 통합 생태학/96
3) 생명과 생명과학/102
5. 자본주의와 현대문화 104
1) 후기 자본주의 사회/104
2) 자본주의의 기원과 특성/108
3) 자본주의를 넘어서/116
제3장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고찰 123
1.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124
1) 트랜스휴머니즘의 등장/124
2) 트랜스휴머니즘의 특징/127
3) 포스트휴머니즘의 갈래와 내용/134
2.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139
1)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무엇인가/139
2)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전개/144
3. 탈근대성 담론과 포스트휴먼 148
1) 포스트휴먼적 상황/148
2) 포스트휴먼 담론의 탈근대성/149
3) 포스트휴먼적 인간의 현재/153
4. 생명과학 문화와 포스트휴머니즘 155
1) 현대의 생명과학과 인간 생명/155
2) 포스트휴먼 인간 생명의 형이상학/159
5. 정보기술 문화와 포스트휴머니즘 162
1) 정보기술 문화 -디지털 시대/162
2) 디지털 시대의 문화 변화/168
3) 의사소통 체계의 디지털화 /171
4)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변화/175
6. 생태위기와 인간 존재의 가능성 178
1) 현재의 생태위기/178
2) 생태위기와 삶의 전환/180
3) 통합생태론 /184
제4장  탈근대적 인간이해찰 191
1. 탈근대적 문화 상황과 해체 담론 192
1) 탈근대적 철학 담론/192
2) 이성중심주의 해체와 휴머니즘 극복/196
3) 근대성 비판과 현대문화/199
2. 생명성의 포스트휴먼 202
1) 포스트휴먼과 현대의 생명이해/202
2) 포스트휴먼의 생명성/206
3. 탈존적 인간으로서 포스트휴먼 211
1) 탈존 개념/211
2) 탈존적 인간/216
4. 포스트휴먼의 영성 221
1) 현대문화에서의 영성 담론/221
2) 새로운 영지주의적 현상/225
3) 내재적 초월의 영성/231
5. 포스트휴먼 시대의 일 개념 235
1) 제4차 산업혁명과 노동 개념/235
2) 후기 산업사회와 노동의 종말/239
3) 포스트휴먼 사회와 제3부문의 노동/243
4) “일” 개념의 새로운 정립/247
제5장  포스트휴먼 문화와 인문학 251
1. 인문학과 인문교육 252
1) 인문학의 현재/252
2) 인문교육의 현재성 /255
3) 한국의 인문학과 인문교육/257
2. 인문학의 터전으로서 “현재” 260
1) 인문학의 특성/260
2) 현재를 성찰하는 인문학/262
3. 포스트휴먼 시대와 인문학의 지향성 265
1)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문학의 특성/265
2) 포스트휴먼 인문학의 내용/268
3) 포스트휴먼 인문학의 지향성/272
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문학의 변화 278
1) 포스트휴먼 인문학과 대학/278
2) 포스트휴먼 인문학의 내용/283
5. 생명성의 인문학 286
1) 생명성의 의미/286
2) 생명성의 인문학/289
3) 영성 인문학과 교육/291

맺음말 296
주제색인 311
인명색인 318

저자소개

저자 : 신승환

신승환은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독일 뮨헨 철학대학(Hochschule f?r Philosophie M?nchen)과 레겐스부르크(Regensburg)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하이데거와 진리문제〉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1997년 이래 가톨릭대학교 철학과(성심교정)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금은 생명철학을 중심으로 근대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사유에 대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살림출판사 2003);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한길아트, 2008), 『생명과학과 생명윤리-철학적 지평』(천주교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편, 2008), 『지금, 여기의 인문학』(후마니타스 2010), 『철학, 인간을 답하다』(21세기북스 2014), 『해석학-새로운 사유를 위한 이해의 철학』(아카넷 2016), 『행복과 삶의 해석학』(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I『형이상학과 탈형이상학』(서광사 2018)이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