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이 책은 생명윤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주제로 나누어 총 10장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지침 및 법규를 정리한 “부록”을 책 뒷부분에 수록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생명과 생명윤리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생명을 다루는 과학이란 무엇인지 그 기본적인 개념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제2장에서는 생명의료 분야에서 고민해보아야 할 각종 관련 법규와...
목차 전체
이 책은 생명윤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주제로 나누어 총 10장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지침 및 법규를 정리한 “부록”을 책 뒷부분에 수록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생명과 생명윤리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생명을 다루는 과학이란 무엇인지 그 기본적인 개념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제2장에서는 생명의료 분야에서 고민해보아야 할 각종 관련 법규와 그러한 법이 적용되는 원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연명의료와 관련된 개념과 연명의료의 결정 방법,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방식 등을 분석하고 연명의료 및 안락사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법률적 문제 등을 살펴보고 있다. 제4장에서는 뇌사의 개념과 판정 기준, 장기 이식의 종류와 이식에 관련된 윤리적 ㆍ 법적 문제를 짚어보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인공임신중절의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법적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제6장에서는 다양한 보조생식술의 특성과 그에 따른 법적인 문제들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제7장에서는 배아와 줄기세포 연구의 가치 등에 대해 논하며 배아나 줄기세포 연구와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제8장에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개념 및 원칙, 임상시험과 생명과학 연구에 대한 규제 법률 등을 설명한다. 제9장에서는 유전자검사의 의미와 한계, 유전자치료의 문제점과 법적 규제에 대한 내용들이 이어지며, 제10장에는 동물실험의 윤리적, 법적 문제와 이종 이식의 의미 및 현황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록에는 “생명윤리와 인권에 관한 보편 선언”, “세계의사회 헬싱키 선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등 생명윤리와 관련된 주요 법규를 싣고 있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