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2

교육트렌드 2022 집필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교육트렌드 2022 집필팀
서명/저자사항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2 / 교육트렌드 2022 집필팀 지음.
발행사항서울 : 에듀니티, 2021.
형태사항526 p. : 삽화, 표 ; 24 cm.
기타표제한국 교육을 움직이는 20가지 키워드
ISBN9791164251056
일반주기 교육트렌드 2022 집필팀: 성기선, 김성근, 김두환, 김차명, 최병호, 최종순, 천경호, 정성식, 서영선, 김태은, 김영식, 유재, 송대헌, 서용선, 김태정, 김성천, 전대원, 최지윤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512-522), 색인(p. 523-526) 포함
비통제주제어한국교육,교육트렌드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56319 370.9519 교67183ㄷ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56320 370.9519 교67183ㄷ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2022년은 교육계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3월 대통령 선거, 6월 지방선거와 교육감 선거, 7월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이 예정돼 있고 그 결과에 따라 교육 현장은 큰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국가교육위원회는 제대로 출범할 수 있을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권한과 책임을 잘 나눌 수 있을까? 교육자치는 순항할 수 있을까? 고교학점제는 실행할 수 있을까? 코...

목차 전체

2022년은 교육계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3월 대통령 선거, 6월 지방선거와 교육감 선거, 7월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이 예정돼 있고 그 결과에 따라 교육 현장은 큰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국가교육위원회는 제대로 출범할 수 있을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권한과 책임을 잘 나눌 수 있을까? 교육자치는 순항할 수 있을까? 고교학점제는 실행할 수 있을까? 코로나 이후의 학교는 예전과 어떻게 달라질까? 더욱 확대된 교육격차는 해소 가능한가? 등 수많은 교육계 현안에 대한 명확한 답을 모두가 찾지만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다.

지난 3월, 18명의 교육전문가가 모여 2022년 교육 현장에 가장 영향을 미칠 20개의 주제를 선정했다.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2’는 이 20가지 이슈의 배경을 분석하고 관련 쟁점을 정리했다. 또한 그 이슈들이 교육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전망해 이해관계자들이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했다. 알고 나면 불안하지 않고, 예측할 수 있으면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 2022년, 무슨 일이 일어날까? 20가지 모든 주제가 불확실하지만 모두를 위한 방향으로 지혜를 모을 때다. 이 책이 그 나침반이 되어줄 것이다.

목차

목차 일부

추천사 │이재정, 이만주, 최교진, 도종환

서문 사회 변화, 교육 변화 읽는 교육트렌드 │성기선

1부 회고
성장의 그늘 속 눈먼 자들의 각축전 │김성근

2부 변화
1. 세대의 변화
사회 변화와 교육: 사회 변화를 알아야 내 아이의 교육이 보인다 │김두환
MZ세대 교사: 나다움과 교사다움, 그 사이에서 │김차명
코로나19와 학교교육:...

목차 전체

추천사 │이재정, 이만주, 최교진, 도종환

서문 사회 변화, 교육 변화 읽는 교육트렌드 │성기선

1부 회고
성장의 그늘 속 눈먼 자들의 각축전 │김성근

2부 변화
1. 세대의 변화
사회 변화와 교육: 사회 변화를 알아야 내 아이의 교육이 보인다 │김두환
MZ세대 교사: 나다움과 교사다움, 그 사이에서 │김차명
코로나19와 학교교육: 변화와 도전의 방아쇠가 당겨졌다 │최병호
기후변화와 환경교육: 이미 시작했어도 벌써 늦었다 │최종순
요즘 아이들과 학부모: 흩어진 관계, 깊어진 고립, 절실한 대화 │천경호

2. 학교의 변화
돌봄: 양적 확대를 넘어 양질을 도모하다 │정성식
학교 형태의 다양화: 사회 전체가 거대한 학교가 된다 │서영선
학교공간혁신: 공간이 교육을 묻다 │김태은
기초학력: 모두를 위한 교육, 여기에서 시작하자 │김영식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의 시대, 소유에서 접속으로 │김차명
원격교육과 에듀테크: ‘교육’에서 ‘학습’으로, 축의 이동 │유재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유보통합, 더는 미룰 수 없다 │송대헌
교육불평등: ‘경쟁교육’이 발행한 청구서가 도착했다 │서용선
혁신교육지구와 마을교육공동체: 진화하는 교육거버넌스 │김태정
학교자치와 민주학교: 교육생태계의 새로운 질서 │김성천

3. 정책의 변화
국가교육위원회의 탄생: 국민참여형 교육정책의 실현 │성기선
교육재정: 마음을 얻는 자가 재정을 가져간다 │유재
교원양성체제: 미래의 교사를 위한 집중과 선택 │성기선
고교학점제: 고등학교 캠퍼스가 열린다 │전대원
교육과정: 경계를 허물고 빗장을 풀다 │최지윤

3부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 담론
위기 속에 빛나는 미래 향한 여정 │김성근, 김진경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성기선
가톨릭대학교 교육학 교수
경력: 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 원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교원양성체제혁신위원회 위원장
관심영역: 교육사회학, 교육정책, 학교혁신, 교육자치제도

김성근
충청북도교육청 부교육감
경력: 교육부 학교혁신지원실장, 충청북도교육청단재교육연수원장, 대통령비서실 교육행정관
관심영역: 교육정책 담론, 교육자치, 평화통일교육

김두환
덕성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경력: 홍콩중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국가교육회의 전문위원, 교육부 대학설립심사원회 위원장
관심영역: 교육불평등, 미래사회, 미래교육, 지역교육생태계

김차명
참쌤스쿨 대표
경력: 경기도교육청 미디어 담당 장학사, (사)경기교육연구소 소장
관심영역: 교육 콘텐츠, 비주얼씽킹

최병호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장학관
경력: 이우학교교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기획홍보과장
관심영역: 혁신교육의 미래, 교육자치

최종순
광주광역시교육청 장학관
경력: 광주광역시교육청 대안교육지원센터 장학사,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장학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교육과정현장네워크 기획위원
관심영역: 교육정책, 민주시민, 기후환경

천경호
실천교육교사모임 수석부회장
경력: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관심영역: 긍정심리학, 교육과 철학

정성식
이리고현초등학교 교사
경력: 실천교육교사모임 초대 & 2대 회장, 국가교육회의 전문위원,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운영위원
관심영역) 교사와 학생의 마음, 교육법, 교육행정, 교육정책

서영선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장학관
경력: 경기도‧세종특별자치시 초등교사,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장학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교육과정현장네워크 기획위원
관심영역: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사전문성, 세대문화

김태은
광주공업고등학교 교사
경력: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교육정책관, 교육부 파견, 교육부 미래교육위원회 전문위원
관심영역: 변화, 혁명, 재미

김영식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
경력: 덕양중 연구혁신부장, 학생인권부장, 경기도 혁신학교추진위원,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교사모임 대표
관심영역: 학교혁신, 교원정책, 학습지원정책, 학교자치

유재
(사)경기교육연구소 대표이사
경력: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정책담당 장학사, 경기도교육청 정책보좌관,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 장학사
관심영역: 빅데이터, 역사, 경제

송대헌
세종특별지치시 교육감 비서실장
경력: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자문위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권국장
관심영역: 각 교육주체의 교육에 대한 권리

서용선
국회 보좌관
경력: 의정부여중 혁신부장, 교육부 교육연구사, 전교조 정책연구국장
관심영역: 민주시민교육, 교육정책, 교육과정 정치교육

김태정
인천교육청 마을교육지원단 전문관
경력: 서울 양천구청 교육정책 보좌관, 국가교육회의 지역사회협력특별위원회 지역공동체 소위원장,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정책위원장
관심영역: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정책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조교수
경력: 한국교원대 종합교육연수원 부원장,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소장,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실 장학사
관심분야: 혁신교육, 교육정책, 인사혁신

전대원
성남여자고등학교 일반사회과 교사
경력: 자치경영연구원 연구원, 실천교육교사모임 대변인
관심영역: 지식사회학

최지윤
국가교육회의 기획단 장학관
경력: 국가교육회의 전문위원, 전라북도교육청 장학사 장학관, 전북라북도교육청 소속 중등 교사
관심영역: 교육과정, 새로운 학력, 학교혁신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