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이 책은 기존의 색채학 이론을 전반적으로 빠짐없이 소개하였으며 이 책 한 권으로 색채학과 관련된 많은 물음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또한 저자 스스로에게도 하나의 빅데이터가 될 수 있도록 정리하며 집필하였다. 지나치게 광범위한 부분을 다루다 보니 부끄럽게도 훌륭하신 선배 학자분들의 글을 많이 참고 하여 소개하였고, 각주를 달지 않고 참고문헌으로 게...
목차 전체
이 책은 기존의 색채학 이론을 전반적으로 빠짐없이 소개하였으며 이 책 한 권으로 색채학과 관련된 많은 물음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또한 저자 스스로에게도 하나의 빅데이터가 될 수 있도록 정리하며 집필하였다. 지나치게 광범위한 부분을 다루다 보니 부끄럽게도 훌륭하신 선배 학자분들의 글을 많이 참고 하여 소개하였고, 각주를 달지 않고 참고문헌으로 게재하였다. 영문자는 색이름과 저서, 인명을 제외하고는 소문자로 표기하여 시각적인 구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한자어는 내용상 의미 구분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병기하였다. 저자가 참고한 색채학 저서들에는 KS 표색체계를 중심으로 색명과 색조를 통일해서 다룬 경우가 없어서, 이 책에서는 KS 표색체계 중심으로 전체 색명과 색조 표기를 통일하고 색조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소개하였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