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시민의 한국사

한국역사연구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한국역사연구회
서명/저자사항시민의 한국사 / 한국역사연구회 지음.
발행사항파주 : 돌베개, 2022.
형태사항2책 : 삽화 ; 26 cm.
ISBN9791191438642(v.1)
9791191438659(v.2)
9791191438635(세트)
일반주기 왕위 계보도(v.1): p. 523-539
서지주기시각자료 소장처 및 출처, 참고문헌, 색인 포함
내용주기v.1: 전근대편 -- v.2: 근현대편
비통제주제어한국사,전근대사,근현대사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59740 951.9 한1745503ㅅ v.1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559741 951.9 한1745503ㅅ v.1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3 E559742 951.9 한1745503ㅅ v.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4 E559743 951.9 한1745503ㅅ v.2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장구한 우리 역사를 통시적으로 담아낸 한국사 통사. 2013년 ‘교학사 책 파동’과 2015년 ‘국정 교과서 파동’이 그 발단으로, 권력에 무너진 역사 서술에 맞서 제대로 된 한국사를 만들어보자는 문제의식 아래 기획됐다. 국내 전문 연구자들을 필진으로 채우고, 획일화된 해석에 거리를 두며 최신 연구 성과까지 반영해보자는 계획이었다. ...

목차 전체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장구한 우리 역사를 통시적으로 담아낸 한국사 통사. 2013년 ‘교학사 책 파동’과 2015년 ‘국정 교과서 파동’이 그 발단으로, 권력에 무너진 역사 서술에 맞서 제대로 된 한국사를 만들어보자는 문제의식 아래 기획됐다. 국내 전문 연구자들을 필진으로 채우고, 획일화된 해석에 거리를 두며 최신 연구 성과까지 반영해보자는 계획이었다. 선사시대부터 2022년 초 문재인 정부 시절까지, 총 8편으로 나눠 충실하게 담아낸 전형적인 통사서다. 각 편은 기본적으로 시간의 흐름을 따르되, 공통적으로 ‘정치’ 부문을 제일 앞에 두었다. 한 사회를 움직이는 중요한 동력이 정치구조임을 부인할 수 없기에 이후 이어질 경제·사상·문화를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하려는 의도다.
제목인 ‘시민의 한국사’ 그리고 표지에 써 넣은 ‘시민을 위한’이라는 문구는 대한민국 시민 누구에게나 널리 읽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한국사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역사서를 즐겨 읽는 일반인을 비롯해 한국사검정능력시험·임용고시 등을 준비하는 수험생, 한국사를 가르치는 교사와 강사 등에게 더없이 기쁜 소식으로 다가가리라 기대한다.

목차

목차 일부

<시민의 한국사 1: 전근대편 목차>
책을 펴내며

제1편 선사
1. 도구 사용과 무리생활
2. 농사짓기와 정착생활

제2편 고대
1. 금속기 문화와 고조선
1 계급 분화와 국가 성립 | 2 단군과 고조선 | 3 고조선의 변천과 멸망 | 4 한 군현과 토착 세력

2. 초기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부여의 성립과 역사 전개 | 2 고구려...

목차 전체

<시민의 한국사 1: 전근대편 목차>
책을 펴내며

제1편 선사
1. 도구 사용과 무리생활
2. 농사짓기와 정착생활

제2편 고대
1. 금속기 문화와 고조선
1 계급 분화와 국가 성립 | 2 단군과 고조선 | 3 고조선의 변천과 멸망 | 4 한 군현과 토착 세력

2. 초기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부여의 성립과 역사 전개 | 2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3 옥저와 동예 그리고 삼한 소국

3. 삼국의 발전과 가야
1 고구려의 영역 확장과 지배체제 정비 | 2 백제의 성장과 마한 통합 | 3 진한 사로국에서 신라로 | 4 가야의 여러 나라

4. 삼국의 항쟁과 지배체제 정비
1 고구려의 영토 확장과 평양 천도 | 2 백제의 천도와 지배체제 정비 | 3 신라의 지배체제 정비와 영토 확대

5. 삼국의 정치·사회·경제
1 지배구조와 정치제도 | 2 사회계층과 신분제 | 3 수취제도와 경제생활

6. 삼국의 문화와 예술
1 한자문화의 수용과 역사서 편찬 | 2 신앙과 종교 | 3 건축과 예술

제3편 통일신라·발해
1. 동아시아 정세와 통일전쟁
1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삼국의 대응 | 2 나당 연합과 백제의 멸망 | 3 고구려의 멸망과 나당전쟁

2. 신라의 지배체제 재정비와 정치 변동
1 평화 속 체제 안정 | 2 왕위 다툼과 정국 혼란 | 3 호족의 등장과 후삼국 분열

3. 신라의 정치·사회·경제
1 통치기구와 지배조직 | 2 토지제도와 경제생활 | 3 사회구조와 생활상

4. 신라 통일기의 사상과 문화
1 사상과 종교 | 2 문학과 예술

5. 발해의 지배구조와 문화
1 건국과 발전 | 2 발해의 멸망과 유민의 동향 | 3 정치제도와 주민구성 | 4 사상과 문화

제4편 고려
1. 고려 전기의 정치와 체제 정비
1 고려의 건국과 왕권 확립 | 2 지배 세력과 국가체제의 정비 | 3 숙종-인종대의 정치 변동

2. 고려 후기의 정치와 체제 변동
1 무신정권의 형성과 민의 봉기 | 2 몽골(원)의 간섭과 고려의 정치 | 3 개혁 정치와 고려의 몰락

3. 고려의 국제관계와 전쟁, 교류
1 다원적 국제질서와 국제관계 | 2 몽골과의 전쟁과 강화 | 3 일원적 세계질서로 변동

4. 고려의 경제구조와 생활
1 토지제도와 농장 | 2 수취제도의 운영과 교통 | 3 농업생산력과 농업기술 | 4 상공업의 발달

5. 고려의 사회구조와 변동
1 신분제의 운영과 동요 | 2 가족제와 여성의 지위 | 3 사회정책과 율령제

6. 고려의 사상과 문화
1 불교계의 동향과 불교문화 | 2 유교사상의 전개와 유교의례 | 3 도교·풍수도참·민간신앙 | 4 과학과 문화의 발달

제5편 조선
1. 조선왕조의 성립과 체제
1 조선왕조의 성립 | 2 새로운 국가체제의 정비 | 3 중앙과 지방의 행정조직 | 4 대외관계와 군사조직 | 5 관료 선발과 교육제도

2. 조선 전기의 경제 운영과 사회구조
1 과전법의 운영과 수취체제의 변화 | 2 농업 경영과 생산력의 발달 | 3 국가적 상업 통제와 관영 수공업체제의 형성 | 4 신분제의 구조와 운영

3. 조선 전기 학문과 문화의 발달
1 성리학의 수용과 보급 | 2 과학기술의 발달 | 3 문화의 발달

4. 조선 중기 사림의 성장과 붕당
1 사림의 성장 | 2 붕당의 발생 | 3 성리학의 심화

5. 두 차례의 전쟁과 전후 복구
1 임진왜란과 대일관계 | 2 병자호란과 대청관계 | 3 전후 국가체제 정비 | 4 재지사족과 지방사회

6.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
1 정치질서의 재편 | 2 탕평정치의 실시 | 3 세도정치의 등장과 폐해

7. 조선 후기 경제 발달과 사회 변동
1 부세제도의 개편 | 2 농업 발달과 지주제의 변동 | 3 상공업의 성장과 무역의 발달 | 4 서울과 지방사회의 변화 | 5 신분제와 가족·친족제의 변화 | 6 민중 저항의 양상

8. 조선 후기 사상과 문화의 새로운 흐름
1 화이론과 성리학 | 2 실학의 전개와 역사 연구 | 3 천주교와 민중사상의 등장 | 4 문화의 새로운 흐름

시각자료 소장처 및 출처
왕위 계보도
참고문헌
찾아보기

<시민의 한국사 2: 근현대편 목차>
책을 펴내며

제6편 개항기
1. 근대화 정책의 전개와 갈등
1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 | 2 왕권 강화와 반침략 투쟁 | 3 개항과 근대화 정책 | 4 동학농민전쟁의 전개

2. 근대 국가의 수립과 좌절
1 갑오개혁과 근대 국가체제 도입 | 2 근대 국가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 | 3 황실 중심의 근대화 정책 | 4 일제의 국권 침탈

3. 자본주의 경제의 출발과 식민지적 재편
1 국제 무역의 확대와 국내 상공업의 변화 | 2 농업 변동과 대한제국의 토지조사 | 3 광공업·금융업·교통운수업의 발달 | 4 한국 경제의 식민지적 재편

4. 신분제 폐지와 사회구조의 변동
1 근대적 교육제도와 인재 양성 | 2 신분제 폐지와 언론 매체의 발간 | 3 행정제도의 변화와 지역사회의 변동 | 4 근대적 재판제도의 도입과 민사·형사법규의 제정

5. 서양문화의 유입과 변용
1 서양 근대사상과 학문의 도입 | 2 근대적 과학기술과 의료 | 3 서양 종교와 신흥 종교 | 4 문학과 예술의 변화

제7편 식민지기
1. 일제의 식민지배
1 식민지배의 유형과 일제 식민지배의 특성
| 2 식민지배체제의 형성 | 3 식민지 개발과 민족 억압·차별·수탈 | 4 전시 통제와 강제 동원 | 5 친일협력 세력의 육성

2. 민족해방운동의 전개와 분화
1 1910년대 국내외 민족운동 | 2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 3 독립군의 무장투쟁과 의열단 | 4 민족해방운동의 분화 | 5 민족협동전선운동

3. 민족통일전선운동과 해방의 준비
1 1930년대 전반 국내외 민족운동 | 2 통일전선운동과 무장투쟁 | 3 해방의 준비와 새로운 사회 건설 구상

4. 경제와 생활
1 식민지 자본주의체제의 형성 | 2 식민지 지주제와 농민생활 | 3 식민지 공업화와 노동자생활 | 4 해외 이주와 이주 동포들의 삶

5. 사회와 대중운동
1 새로운 사회변화 | 2 도시화와 농촌사회 | 3 언론·출판활동과 교육의 확대 | 4 대중운동의 등장과 전개

6. 근대문화의 확산
1 근대 예술·체육의 보급과 종교활동 | 2 생활양식의 변화와 근대 소비문화 | 3 근대 학술의 발달과 조선학운동 | 4 가족문화와 여성

제8편 현대
1. 해방과 분단, 1945~1953
1 해방과 점령 | 2 자주적 통일국가 건설의 좌절 | 3 남북의 사회·경제·문화 | 4 6·25전쟁과 분단의 고착

2. 전후~1987년 한국의 정치·대외관계·남북관계
1 민주화 | 2 국제 정세와 대외관계의 변화 | 3 남북관계의 변화

3. 1987년 이후 한국의 정치·대외관계·남북관계
1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2 탈냉전 이후의 한반도 정세 변화와 G-2 시대의 신냉전체제 | 3 1987년 이후 남북관계

4. 현대 한국의 경제
1 1950년대 원조경제 | 2 1960~1970년대 경제개발정책의 추진과 공업화 | 3 1980~1990년대의 한국 경제 | 4 IMF 사태 이후의 한국 경제

5. 현대 한국의 문화
1 1950년대: 한글세대와 대중사회 | 2 1960~1970년대: 대중문화와 검열, 영화와 텔레비전의 시대 | 3 1980~1990년대: 문화운동과 대중문화의 성장 | 4 21세기: 문화 산업과 세계 속의 한국문화

6. 전후의 북한사회
1 전후 복구와 김일성 중심의 권력구조 확립 | 2 유일체제 확립과 자립 경제 노선 | 3 북한식 사회주의의 전개와 침체 | 4 김정일체제하의 북한사회와 대외관계 | 5 김정은체제하의 북한사회

시각자료 소장처 및 출처
참고문헌 534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 한국역사연구회
1988년 창립된, 현재 한국 역사학계를 대표하는 학회로 700여 명의 회원이 함께한다. 실천을 지향하며 과거 역사에만 매몰되지 않겠다는 목표로 학술적 깊이와 넓이를 더하고 있다. 또한 역사 대중화를 알리는 데 앞장서며, 강의와 출판활동을 지속해왔다. 그동안 출간한 책으로 『한국사강의』 『한국역사』 『한국역사입문』 『조선정치사』 『(삼국·고려·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고대부터 현대까지 시대순으로 풀어쓴 ‘시대사총서 10권’ 등이 있다. 현재 연 4회 『역사와 현실』을 발간하고, 홈페이지에 『웹진 역사랑』을 간행 중이다. http://www.koreanhistory.org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