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우리 저자들은 초판 서문 마지막 부분에서 이 책의 내용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책의 내용을 계속 고치고 다듬겠다고 독자들에게 약속하였다. 이러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이번 제3판의 최우선 목적이었다. 우리 저자들은 새로운 내용의 추가는 최대한 자제하되 이 책의 장점을 살리면서 완성도를 더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제3판을 제작하였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
목차 전체
우리 저자들은 초판 서문 마지막 부분에서 이 책의 내용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책의 내용을 계속 고치고 다듬겠다고 독자들에게 약속하였다. 이러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이번 제3판의 최우선 목적이었다. 우리 저자들은 새로운 내용의 추가는 최대한 자제하되 이 책의 장점을 살리면서 완성도를 더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제3판을 제작하였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ㆍ ?Part 1의 1~3장에서는 장문과 비문을 수정하여 가독성을 높였고, 특히 2장의 경우 독자들이 조사방법론의 핵심 쟁점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사의 과학적 방법을 보완하였다.
ㆍ ?조사연구의 구조를 다루는 Part 2에서는 일부 장의 순서를 바꾸었다. 초판에서는 조사연구의 과정을 먼저 제시한 후 조사연구의 기초 개념을 제시하였다. 제3판에서는 조사연구의 기초 개념을 제시한 후 조사연구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 이유는 기초 개념을 먼저 소개한 후 조사연구의 과정을 소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두 장의 순서를 바꾸었다. 더불어 조사연구의 기초 개념에 관한 사례를 추가하고 현실에 맞게 수정하였다. 또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조사연구의 의미, 조사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 그리고 데이터들을 정보화시키는 과정 등을 더욱 간결하게 정리하였다.
ㆍ ?Part 2에서 조사설계를 다루는 6장은 내용상으로 보강되었다. 조사설계의 유형을 추가하였고 각 조사설계가 내적 타당도 저해 요인을 통제하는 능력을 보완하였다. 또한 개인 수준 조사설계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독자들의 욕구가 있어 이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ㆍ ?질적 조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질적 조사에서 사용하는 자료수집 방법들의 구체적인 사례를 풍부하게 제시하였다.
ㆍ ?Part 3은 조사연구의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연구논문과 조사보고서 작성을 다룬다. 이 책의 독자들이 주로 학생들이기 때문에 조사보고서에 초점을 두고 조사보고서의 각 구성요소에 꼭 들어가야 하는 내용을 점검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