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본 서는 다음과 같이 집필하여 세법에 대한 이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세법의 각 세목별 조문순서를 기본으로 하여 기본 목차를 구성하였고 세법에 대한 좀 더 빠른 이해를 위하여 실무적 절차(순서)를 최대한 반영하고 그림과 도표를 추가하였다.
둘째, 세법의 조문은 그 근거를 [법률?법, 시행령?령, 시행규칙?칙] 등의 방식...
목차 전체
본 서는 다음과 같이 집필하여 세법에 대한 이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세법의 각 세목별 조문순서를 기본으로 하여 기본 목차를 구성하였고 세법에 대한 좀 더 빠른 이해를 위하여 실무적 절차(순서)를 최대한 반영하고 그림과 도표를 추가하였다.
둘째, 세법의 조문은 그 근거를 [법률?법, 시행령?령, 시행규칙?칙] 등의 방식으로 전부 기재하였고, 수록한 판례는 그 출처를 전부 밝혀 본 서를 공부하는 분들이 원문을 찾아 그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세법학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판례가 법 조문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병행하여 서술하였고, 독립적으로 구성된 최신 판례는 별도로 [관련판례]의 방식으로 수록하였으며, 중요한 판례를 사례로 만들어 본서에 수록하였다.
넷째, 세법학 Ⅰ부는 국세기본법을 근간으로 하여 소득세법, 법인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의 순서로 집필하였으며, 세법학 Ⅱ부는 부가가치세법, 개별소비세법, 지방세법, 조세특례제한법의 순서로 집필하여 각 세목별로 꼭 필요하고 중요한 사항만으로 집필하려고 노력하였다.
다섯째, 세법학의 방대한 양을 고려하여 2022년부터는 세법학 ⅠⅡ를 모두 上,下로 구분하여 휴대의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세법학Ⅰ부는 上(국세기본법, 소득세법), 下(법인세법, 상속세및증여세법)으로, 세법학Ⅱ부는 上(부가가치세법, 개별소비세법), 下(지방세법, 조세특례제한법)으로 구분하였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