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지적장애 학생 교육(3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적 혹은 국가 수준에서 새로 개정되거나 변화된 부분을 찾아 소개하였다. 지적장애 정의체계, 교육과정, 법·제도·정책 등을 다룬 제1, 6, 7, 11, 15장에서는 관련 내용을 최신 내용으로 교체하거나 추가했다.
둘째, 15개 장에 걸쳐 최신 이론과 연구를 기반으로 내용을 좀 더 충실하...
목차 전체
지적장애 학생 교육(3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적 혹은 국가 수준에서 새로 개정되거나 변화된 부분을 찾아 소개하였다. 지적장애 정의체계, 교육과정, 법·제도·정책 등을 다룬 제1, 6, 7, 11, 15장에서는 관련 내용을 최신 내용으로 교체하거나 추가했다.
둘째, 15개 장에 걸쳐 최신 이론과 연구를 기반으로 내용을 좀 더 충실하게 다루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지적장애 원인 및 예방을 다룬 제3장과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다룬 제4장에서는 전체적으로 주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비하고 최신 연구를 추가하였다.
한편, 지적장애 학생을 어떻게 하면 가장 잘 가르칠 수 있을 것인지, 즉 최선의 교수
전략은 무엇인지에 대해 ‘증거기반 실제(EBP)’를 기반으로 내용을 구성하는 데 역점을 두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학령기 교육적 접근에서의 교수방법과 전략을 다룬 제8장에서는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관점에서 증거기반 교수전략의 이론적 근거, 교육 실제, 연구 증거 및 적용 시 유의사항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셋째,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내용 구조에 변화를 주고 관련 사례를 제시하고, 현장성을 담기 위해 노력하였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