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해양인문학 : 다시 생각하는 해양문명과 해양성

김태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태만
서명/저자사항해양인문학 : 다시 생각하는 해양문명과 해양성 / 김태만 지음.
발행사항부산 : 호밀밭, 2022.
형태사항214 p. : 천연색삽화, 초상 ; 21 cm.
ISBN9791168260757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포함
비통제주제어해양인문학,해양문명,해양성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1538 551.46 김8323ㅎ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61539 551.46 김8323ㅎ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인류가 살아가고 있는 지구는 해양이 71%를 차지하고 있는 ‘푸른 행성’이다. 해양은 여전히 가능성을 품고 있다. 육지에서 해양적 관점으로의 대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해양이야말로 인류가 먹고, 쉬고, 즐길 수 있는 모든 것을 한없이 무상으로 내어준다. 인간은 해양과의 관계 속에서 삶과 생명, 풍요와 번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해양은 인간 사회를 이해하는...

목차 전체

인류가 살아가고 있는 지구는 해양이 71%를 차지하고 있는 ‘푸른 행성’이다. 해양은 여전히 가능성을 품고 있다. 육지에서 해양적 관점으로의 대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해양이야말로 인류가 먹고, 쉬고, 즐길 수 있는 모든 것을 한없이 무상으로 내어준다. 인간은 해양과의 관계 속에서 삶과 생명, 풍요와 번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해양은 인간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과 교훈, 무한한 지혜와 올바른 자세를 제공한다. 해양성은 변화무쌍함에서 비롯된 다원성과 도전 정신, 유동성에 따른 자유와 포용, 통합의 정신이자, 미지에 대한 창조성과 혁신 정신 등이다. 이러한 성질은 위태롭게 격변하는 현대 사회에 꼭 필요한 시대 정신이자 자질이다.

고착, 폐쇄, 권위, 질서, 규율을 원리로 하는 ‘육지적 사고’를 넘어선 유동, 열림, 자율, 창의, 창조적 파괴를 존중하는 ‘해양적 사고’로의 전환은 국가 간 경쟁심화, 자원고갈, 기후위기 등 현재 인류 앞에 벽처럼 자리한 거대한 난제를 극복해 나갈 열쇠가 되어줄 것이다. 이 책은 해양으로의 인식 전환과, 해양의 가치를 이해하고 활용‧공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새로운 ‘해양인문학’을 제시한다.

목차

목차 일부

책을 내며_ 004

들어가며 해양인문학으로의 여정_ 012

1. 해양 DNA와 인류_ 017

2. 해양문명의 발견과 가치_ 031
탐험_ 032 / 항해_ 040 / 극지_ 048 / 해양고고학_ 066 / 해양민속_ 075 / 해녀_ 078 / 해양예술_ 088

3. 해양문명의 현재와 미래_ 031
항구와 해양도시_ 126 / 해양경관_ 148 /...

목차 전체

책을 내며_ 004

들어가며 해양인문학으로의 여정_ 012

1. 해양 DNA와 인류_ 017

2. 해양문명의 발견과 가치_ 031
탐험_ 032 / 항해_ 040 / 극지_ 048 / 해양고고학_ 066 / 해양민속_ 075 / 해녀_ 078 / 해양예술_ 088

3. 해양문명의 현재와 미래_ 031
항구와 해양도시_ 126 / 해양경관_ 148 / 해양관광_ 155 /
해양환경_ 173 / 해양산업_ 179

4. 해양인문학을 위하여_ 185
해양문화연구_ 186 / 해양교육_ 191 / 해양인문학_ 196

나오며 푸른 행성, 수구(水球)_ 200

저자소개

저자 : 김태만 
 
현재 국립해양박물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지난 30년 가까이 봉직해 오던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는 잠시 휴직하고 있다. 국회해양포럼 회원, 해양수산부 해양르네상스위원회위원, 부산항북항 통합개발 문화컨텐츠자문위원장,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문화국 가소분과장, 영도문화도시추진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다시 루쉰에게 길을 묻다』, 『내 안의 타자(他者) : 부산 차이니스 디아스포라』, 『해양문화컨텐츠와 스토리텔링』 등과 역서로 『바다가 어떻게 문화가 되는가 - 21세기 중국의 해양문화 전략』, 『홀로 문을 두드리다 : 오늘 의 중국 문화와 예술 들여다보기』 등 총 40여 권의 저‧역서와 「초기 루쉰 의 문예사상 : 『신생(新生)』의 요절(夭折)과 부활(復活)을 중심으로」 등 총 3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