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한글의 탄생 : 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

야간수수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야간수수 1953-
박수진
김진아
김기연
서명/저자사항한글의 탄생 : 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 / 노마 히데키 지음 ; 박수진 ; 김진아 ; 김기연 [공]옮김.
판사항개정증보판.
발행사항파주 : 돌베개, 2022.
형태사항504 p. : 삽화 ; 23 cm.
원서명ハングルの誕生 : 人間にとって文字とは何か(新版)
ISBN9791191438833
일반주기 노마 히데키의 한문명은 '野間秀樹'임
부록: 한글 자모표/반절표. - 일본어 50음표 한글로 쓰기. - 현대어의 초성자음 18종과 초성자모 19종. 외
한글 역사 연표: p. 434-445
서지주기문헌 일람(p. 446-477), 색인(p. 479-504) 포함
수상주기제22회 아시아태평양상 대상, 2010
비통제주제어한글,문자,한국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2561 495.71 야1121ㅎ2박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한글의 탄생―<문자>라는 기적』 초판이 2011년 10월 9일에 출간되고 10여 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위상은 어떻게 변했을까? 이 책 『한글의 탄생―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는 그 변화의 모습을 담았다.

이 책은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 문화 속에 자리 잡은 한글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살펴본 책이다. 언어학자인 노마...

목차 전체

『한글의 탄생―<문자>라는 기적』 초판이 2011년 10월 9일에 출간되고 10여 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위상은 어떻게 변했을까? 이 책 『한글의 탄생―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는 그 변화의 모습을 담았다.

이 책은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 문화 속에 자리 잡은 한글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살펴본 책이다. 언어학자인 노마 히데키는 ‘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라는 보편적인 질문을 통해 한글에 대해서 통찰하며, 한글 창제 이전의 문자 생활, 한글의 창제 과정, 마침내 한글이 한반도에서 ‘지’(知)의 판도를 뒤흔들어 놓은 과정, 나아가 미적 형태의 발전에 이르기까지 한글이라는 존재를 입체적으로 살펴본다.

목차

목차 일부

한국어판 출간에 즈음하여
헤이본샤 라이브러리판 출간에 즈음하여
한국어판 출간을 맞이하여[초판 서문]
책머리에
일러두기

서장 한글의 소묘
1. 한글의 구조
2. 『훈민정음』이라는 책

제1장 한글과 언어
1. 한글이라는 이름
2. 한국어의 세계
3. 말과 문자
4. 한국어는 어떠한 언어인가

제2장 <정음> 탄생의 자장
1. ...

목차 전체

한국어판 출간에 즈음하여
헤이본샤 라이브러리판 출간에 즈음하여
한국어판 출간을 맞이하여[초판 서문]
책머리에
일러두기

서장 한글의 소묘
1. 한글의 구조
2. 『훈민정음』이라는 책

제1장 한글과 언어
1. 한글이라는 이름
2. 한국어의 세계
3. 말과 문자
4. 한국어는 어떠한 언어인가

제2장 <정음> 탄생의 자장
1. 문자를 <만든다> — 한자의 자장 안에서
2. 자기 증식 장치로서의 한자
3. <한문훈독> 시스템
4. 한국어의 <한문훈독> — <구결>의 구조
5. <질량을 가진 텍스트>
6. 서방에서 온 길 <알파벳로드=자음문잣길>의 종언

제3장 <정음>의 원리
1. 문자를 <만든다> — 공기의 떨림에서 음을 잘라 낸다
2. <음>에서 <게슈탈트>로
3. 단음=음절문자 시스템의 창출
4. 사분법 시스템의 충격
5. 음의 변용을 <형태화>하다 — 형태음운론으로의 접근

제4장 <정음> 에크리튀르 혁명 — 한글의 탄생
1. <정음> 혁명파와 한자한문 원리주의의 투쟁
2. <용음합자> 사상 — <지>의 원자를 묻는다
3. <정음>이여, 살아있는 것들의 소리를 들으라
4. <정음>이여, <나·랏:말ᄊᆞᆷ>을 — 에크리튀르 혁명 선언

제5장 <정음> 에크리튀르의 창출
1. <정음>이여, 음을 다스리라 — 『동국정운』
2. <정음>이여, 삼천세계를 비추라 — 유불도의 길
3. <정음>이여, 천지 우주를 배우라 — 『천자문』
4. <정음>이여, 우리의 가락을 — 『두시언해』와 시조
5. <정음>이여, 이야기하라, 읊으라, 그리고 노래하라 — <정음> 문예와 판소리
6. 고유어 혈맥과 한자한문 혈맥의 이중나선 구조
7. <정음> 반혁명을 넘어서

제6장 <정음> — 게슈탈트의 변혁
1. <형태>란 무엇인가?
2. 정음의 <모양>과 <형태>
3. 신체성을 얻은 정음의 아름다움 <궁체>

제7장 <正音>에서 <한글>로
1. 鬪爭하는 <正音>, 투쟁하는 <한글>
2. 다시 게슈탈트를 묻는다 — 근대에서 현대로
3. 비상하는 21세기 한글

종장 보편을 향한 계기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읽는다는 일

문헌 안내
저자 후기[일본어판]
저자 후기[한국어판]
해설 — 아폴로적 지성과 디오니소스적 감성의 결실·쓰지노 유키
해설 — 『한글의 탄생』의 탄생·김진아

[부록]
한글 자모표/반절표
일본어 50음표 한글로 쓰기
현대어의 초성자음 18종과 초성자모 19종
모음삼각형
한글 역사 연표
문헌 일람

찾아보기

저자소개

노마 히데키 (野間 秀樹) (지은이) 

언어학자, 미술작가. 한국과 일본 양쪽의 피를 이어받았다.
도쿄외국어대학 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특별연구원, 일본 국제교양대학(國際敎養大學) 객원교수, 메이지가쿠인(明治學院)대학 객원교수·특명교수 등을 역임.
미술작가로서는, 도쿄, 삿포로에서 여러 차례 개인전, Ljubljana 국제 판화 비엔날레전, Bradford 국제 판화비엔날레전, Praha, Warszawa, 서울, 대구 등지에서 각종 미술전 참가. 현대일본미술전 가작상(佳作賞) 등을 수상.
언어학자로서, 2005년 대한민국 문화포장(文化褒章)을 수장(受章), 2010년에는 『한글의 탄생』으로 마이니치 신문사와 아시아 조사회가 주최하는 제22회 아시아태평양상 대상(大賞)을 수상. 2012년 한글학회 주시경 학술상, 2014년 일본 파피루스상을 수상.
저서로 『언어존재론』(도쿄대학출판회) 『언어, 이 희망에 가득 찬 것』(홋카이도대학출판회)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대한민국학술원 2003년도 우수학술도서, 태학사) 『한국어를 어떻게 배울 것인가』(헤이본샤) 『신(新) 지복(至福)의 한국어』(아사히출판사) 등이 있고, 편저서로 『한국어 교육론 강좌』 1∼4권(구로시오출판사) 『한국의 지(知)를 읽다』(쿠온, 위즈덤하우스) 『한국의 미(美)를 읽다』(공편, 쿠온) 등이 있다.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