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우리의 첫 미술사 수업 : 평등한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관점을 배우다

강은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강은주
서명/저자사항우리의 첫 미술사 수업 : 평등한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관점을 배우다 / 강은주 지음.
발행사항파주 : 이봄, 2022.
형태사항391 p. : 천연색삽화 ; 23 cm.
ISBN9791190582674
비통제주제어서양미술사,페미니즘미술사,여성미술가,미술사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2639 709 강68217ㅇ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2 E562640 709 강68217ㅇ c.2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25년 만에 공개하는 인기 강의!
지금,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이야기,이화여대 교양수업 〈여성과 예술〉을 만난다!
한 대학의 학생들이 ‘몰랐던 새로운 관점’을 알게 되었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하는 교양 수업이 있다. 졸업생과 재학생이 인생수업으로 꼽으며 친구와 같이 듣고 싶다고 하는 수업, 인근 대학 학생들의 청강요청이 쇄도하는 수업. 바로 이화여자대학교...

목차 전체

25년 만에 공개하는 인기 강의!
지금,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이야기,이화여대 교양수업 〈여성과 예술〉을 만난다!
한 대학의 학생들이 ‘몰랐던 새로운 관점’을 알게 되었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하는 교양 수업이 있다. 졸업생과 재학생이 인생수업으로 꼽으며 친구와 같이 듣고 싶다고 하는 수업, 인근 대학 학생들의 청강요청이 쇄도하는 수업. 바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양수업인 〈여성과 예술〉이다.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강의와 작가는 늘 존재한다. 다만, 우리는 ‘개인적인 관점’과 ‘새롭게 발견되고 연구된 관점’의 차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수업은, 인간의 역사로서 당연하게 여겨진 모든 것들에 의문을 제기한 미국의 페미니스트 미술사학자 린다 노클린의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존재하지 않았는가?”라는 유명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기존 미술의 역사를 비롯해 넓게는 인간의 역사를 뒤흔든 질문이다.

이화여대의 교양수업 〈여성과 예술〉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간의 모든 역사를 관통하며 린다 노클린이 던진 질문의 의미를 집요하게 파헤치는 강의이다. 하나의 관점을 따라 제시되는 다양한 이미지 예시와 해석은 지금까지 대중에게 공개된 적이 없다. 25년 만에 마침내, 아카데미에서 소수에게만 공유되었던 수업을 공개한다. 출판사는 오랜 설득 끝에 출판권을 얻을 수 있었고, 기왕이면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마치 강의실에서 대학수업을 듣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살리고자 여러 학기의 강의를 녹취하여 책으로 만들었다. 현재 이 강의를 10년 동안 발전시켜온 미술사학자 강은주의 관점과 입말을 그대로 살렸다. 이 책을 미리 읽은 독자들의 이야기는 한결 같다.
“이 좋은 수업을 이대생들만 들었던 거예요?”

이 책은 모두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페미니즘 미술사 이론을 꼼꼼하고 알기 쉽게 설명하며 이론적 바탕을 탄탄하게 정리한 뒤, 고대부터 19세기 미술의 역사를 살펴본다. 2권에서는 20세기 이후 현대 미술의 역사를 다룰 예정이다.이 책은 저자인 미술사학자 강은주가 밝힌 것처럼, 1970년대 이후 페미니즘 관점에서 미술사를 연구해온 린다 노클린, 캐럴 던컨, 휘트니 채드윅을 비롯한 페미니스트 미술사학자들의 주장과 견해를 바탕으로 한 저자만의 독창적인 해석과 견해가 담겨 있다. 국내 미술사학자의 10년 연구가 고스란히 반영된 이 책은 인기 강의록이자 동시에 국내 미술사학자의 빛나는 연구서이기도 하다.

목차

목차 일부

책을 출간하며

우리의 첫 미술사 수업을 시작하며 : 왜 페미니즘 미술사인가
첫번째 수업 -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존재하지 않았는가
두번째 수업 - 왜 여성들은 ‘위대한’ 미술가로 여겨지지 않았는가
세번째 수업 - 젠더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네번째 수업 - 공간 설정과 인물 표현으로 본 젠더 이데올로기
다섯번째 수업 - 누드 이미지에 담긴 ...

목차 전체

책을 출간하며

우리의 첫 미술사 수업을 시작하며 : 왜 페미니즘 미술사인가
첫번째 수업 -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존재하지 않았는가
두번째 수업 - 왜 여성들은 ‘위대한’ 미술가로 여겨지지 않았는가
세번째 수업 - 젠더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네번째 수업 - 공간 설정과 인물 표현으로 본 젠더 이데올로기
다섯번째 수업 - 누드 이미지에 담긴 젠더 이데올로기
여섯번째 수업 - 고대부터 17세기까지의 여성 미술가들: 가려진 이름들
일곱번째 수업 - 이브와 성모 마리아
여덟번째 수업 - 18세기의 여성 미술가들: 화려함 뒤에 가려진 실력
아홉번째 수업 - 행복한 어머니상
열번째 수업 - 19세기의 여성 미술가들: 모더니티 사회의 전사들
열한번째 수업 - 타락한 여성상
열두번째 수업 - 팜므파탈 이미지의 부상

1권을 마치며

저자소개

저자(글) 강은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으로 학사를, 같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청주공예비엔날레 전시팀장, 경기문화재단 학예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원으로 일하며 다양한 전시를 기획했다.
지금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재학생과 졸업생의 인생수업으로 불리는 교양수업 〈여성과 예술〉을 비롯해 성신여자대학교와 한양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미술사를 강의하며, 페미니즘 미술사 및 현대미술과 대중문화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영국 인디펜던트 그룹의 전시에 나타난 사회적 소통의식’이 있으며, 〈모나리자도 반한 서양미술관〉과 〈현대미술, 현실을 말하다〉(공저)를 썼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