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1장. 그리스 극장(기원전 534~기원전 330): 인공적 이상 세계를 구축하다
비극의 탄생: 염소의 노래, 디오니시아, 디시램브
극장의 탄생: 무대, 객석, 무대 건물
그리스 극장의 형성 1: 아르카이크기, 오케스트라, 테스피스
그리스 극장의 형성 2: 고전기, 테아트론, 아이스킬로스
그리스 극장의 형성 3: 고전기 말, 소포클레스,...
목차 전체
머리말
1장. 그리스 극장(기원전 534~기원전 330): 인공적 이상 세계를 구축하다
비극의 탄생: 염소의 노래, 디오니시아, 디시램브
극장의 탄생: 무대, 객석, 무대 건물
그리스 극장의 형성 1: 아르카이크기, 오케스트라, 테스피스
그리스 극장의 형성 2: 고전기, 테아트론, 아이스킬로스
그리스 극장의 형성 3: 고전기 말, 소포클레스, 스케네
그리스 극장의 세부 구성
그리스 사회와 극장 1: 인공적 이상 세계를 완성하다
그리스 사회와 극장 2: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 미학과 정신체로서의 극장
그리스 사회와 극장 3: 디오니시아와 사회체로서의 극장
그리스 사회와 극장 4: 아고라 극장, 매번 매진되던 인기
2장. 헬레니즘 극장(기원전 330~기원전 30): 장경주의를 완성하다
헬레니즘과 연극의 변화: 신 희극의 등장
비극의 쇠퇴와 신 희극의 부상: 놀이 기능으로 시대에 지친 시민을 위로하다
헬레니즘 극장의 변화 1: 신 희극이 유행하면서 스케네가 커지다
헬레니즘 극장의 변화 2: 올린 무대의 등장과 ‘무대-객석’ 분리
헬레니즘 극장의 이모저모: 에피다우로스, 프리에네, 스케네와 배경 그림의 발전
헬레니즘 극장과 장경주의: 티로마타와 올려다보는 시선
헬레니즘 사회와 극장: 장경주의, 환영주의, 놀이 기능
3장. 로마 극장(기원전 250~서기 4세기): 놀이 기능으로 제국을 융합하다
로마 연극과 극장 개요: 정규 극의 쇠퇴와 다양한 공연 오락의 등장
로마의 정규 극: 비극과 희극의 이모저모
로마의 희극 작가: 플라우투스와 테렌티우스
로마의 지성: 비극 작가 세네카와 극비평가 호라티우스
로마 극장 발전 과정 개요
로마 극장의 구성과 특징 1: 도시주의와 인공성의 강화
로마 극장의 구성과 특징 2: 오케스트라와 풀피툼
로마 극장의 구성과 특징 3: 스카나에 프론스, 기둥 숲이 밀림을 이루다
로마 극장의 구성과 특징 4: 포스트스케니움과 베르수라에
로마 극장의 구성과 특징 5: 통로, 객석, 편의시설
무대 배경, 스펙터클, 장경주의: 인공적 이상 세계를 강화하다
폼페이우스 극장 1: 로마 최초의 영구적 석조 극장
폼페이우스 극장 2: 극장형 신전과 대중주의
로마 극장 분포와 대표적인 예들
소극과 마임: 놀이 기능을 강화하다
로마 사회와 극장 1: 대중 연회, 축제, 놀이 기능
극장 건축의 다양화 1: 원형극장과 콜로세움
극장 건축의 다양화 2: 실내 극장과 극장형 신전
로마 사회와 극장 2: 놀이 본능으로 융합한 제국의 용광로
로마 사회와 극장 3: 인공적 이상 세계, 로마다움을 담는 종합 그릇
4장. 중세 극장(900~1550): 실내 극장을 정착시키다
기독교의 등장과 로마 연극의 소멸
기독교의 로마 연극 탄압: 주일에 연극을 보러 가면 파문이다
중세 연극: 다양한 경로로 명맥을 유지하다
중세 연극 개요: 종교극과 세속극의 다양한 파노라마
중세 극장 개요: 실내 극장을 정착시키다
예배극 = 종교 축제 + 예배에 내재된 공연 요소
예배극의 전개와 발전 과정: 성당 실내극에서 도시 광장으로 나가다
예배극의 내용: 신비극과 기적극
교회 안 예배극 공연: 실내 극장의 여러 장소
교회 안 실내 극장: 맨션의 이모저모
맨션의 선례 모델: 로마 벽화, 야외 축제, 테렌티우스 무대, 토너먼트
교회 밖 자국어 종교 순환극 1: 각 나라의 일상어로 연극을 공연하다
교회 밖 자국어 종교 순환극 2: 길드가 종교극을 이끌다
교회 밖 자국어 종교 순환극 3: 코퍼스크리스티 축제와 바보 축제
자국어 종교 순환극의 야외무대 1: 기본 설명, 천국 맨션
자국어 종교 순환극의 야외무대 2: 지옥 맨션과 현세 맨션
자국어 종교 순환극의 야외무대 3: 이동식 무대, 수레 위 비계와 맨션
자국어 종교 순환극의 야외무대 4: 고정식 무대, 점점 커지고 다양해지는 무대
중세 무대의 그림 기록 1: 그림 성경, 『가난한 자들의 성경』
중세 무대의 그림 기록 2: 얀 반 에이크, 발텐, 보스
중세 사회와 극장: 쌍 개념의 화해와 사회 통합 기능
중세 사회와 극장의 통합 기능: 민족 정체성, 부르주아의 부상, 르네상스의 태동중세 연극의 종말과 르네상스 연극의 서막
5장. 이탈리아 르네상스 극장(1450~1600): 영구적 석조 실내 극장을 완성하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연극의 시작: 다양한 세부 장르와 고전 부활의 양 갈래
고전극의 부활 1: 자국어 비극과 희극을 쓰다
고전극의 부활 2: 그레코 - 로만 논쟁에서 로마주의가 그리스주의를 누르다
연극 유형의 다양화: 코메디아 에루디타, 인테르메치, 전원목가극
코메디아 델라르테 1: 새로운 시대 상황, 르네상스 대표 장르
코메디아 델라르테 2: 네 명의 고정 배역으로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다
신고전주의 극 비평 이론 1: 삼일치 법칙, 시간 - 공간 - 사건의 일치
신고전주의 극 비평 이론 2: 데코럼, 특징 유형, 도덕 교훈
신고전주의 극 비평 이론 3: 박진성, 사실주의, 유형화
신고전주의 극 비평 이론 4: 고전 부활, 200년 동안 유럽 연극을 이끌다
중세 극장 전통의 계속: 임시 가설무대 + 로마 극장 구성
새로운 극장의 출현 1: 팔라초 정면을 무대 배경으로
라파엘로의 마다마 빌라 극장: 로마의 ‘여가’를 부활시켜 주택에 적용하다
새로운 극장의 출현 2: 로마 극장 모델의 부활
팔라디오의 활약: 로마 극장 표준형의 완성
새로운 극장의 출현 3: 영구적 석조 실내 극장의 탄생
새로운 극장의 출현 4: 고정식 3차원 무대 공간
새로운 극장의 출현 5: 원근법을 사용한 무대 배경
새로운 극장의 출현 6: 세를리오의 원근법 3종 무대 세트
세를리오의 <극장 평면도>: 프로시니엄과 날개 화판의 등장
새로운 극장의 출현 7: 프로시니엄 아치와 새로운 극장 공간 개념
올림픽 극장 1: 비트루비우스 극장을 실내에 구현하다
올림픽 극장 2: 인공적 이상 세계를 실내 극장으로 완성하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사회와 극장: 로마주의를 부활시켜 근대적 정체성을 세우다
6장. 프랑스 르네상스 극장(1500~1642): 초기 근대 200년을 준비하다
16세기 형성기: 중세를 벗고 근대로 나아가는 첫 길목
17세기 전반부 완성기 1: 르 시드 논쟁과 신고전주의의 승리
17세기 전반부 완성기 2: 리슐리외의 예술 정치와 아카데미 프랑세즈 설립
프랑스 르네상스 극장: 사적 공간으로 시작한 다섯 극장
실내 극장: 대저택과 테니스 코트, 갤러리와 박스석이 등장하다
프랑스 르네상스 대중 극장 1: 16세기 부르고뉴 오텔 극장
프랑스 르네상스 대중 극장 2: 낭트칙령과 17세기의 발전
프랑스 르네상스 대중 극장 3: 테니스 코트와 마레 극장
프랑스 르네상스 궁정 극장: 프티 부르봉 극장과 두 채의 추기경 궁전 극장
프랑스 르네상스 무대: 중세 맨션과 이탈리아주의의 혼용
프랑스 르네상스 사회와 극장: 이탈리아 고전주의와 프랑스의 정체성을 통합하다
7장. 영국 르네상스 극장(1500~1658): 셰익스피어를 품다
헨리 8세의 16세기 전반부 연극: 라틴 희극에 다양한 주제를 섞다
엘리자베스 1세와 16세기 후반부 1: 연극을 탄압해서 발전시키다
엘리자베스 1세와 16세기 후반부 2: ‘셰익스피어 - 존슨’ 세대
17세기 전반부 연극: ‘재커비언 - 캐롤라인’ 세대 극작가들
청교도혁명기: 금욕주의와 연극의 정체
궁정 극장 1: 궁정 가면극과 임시 가설무대
궁정 극장 2: 이니고 존스의 ‘궁정 내 투계장 극장’
궁정 극장 3: 뱅큇 하우스, 엘리자베스 1세의 순시 정치
이니고 존스 1: 왕실 건축가, 영국 르네상스 극장을 완성하다
이니고 존스 2: 무대 디자인에서 이탈리아주의를 시도하다
이니고 존스 3: <알비온의 승리>와 이탈리아주의의 완성
이니고 존스 4: 궁정 가면극, 스펙터클 무대와 프로시니엄 아치의 등장
대중 극장 1: 대중을 위한 ‘목적성 공공 극장’, 시어터로 시작하다
대중 극장 2: 로즈와 제1 포춘, 중앙형 영국 모델을 완성하다
대중 극장 3: 숙사 마당 극장과 동물 게임장에서 근원하다
셰익스피어 전문 극장 1: 스완, 무대 건물에 발코니를 얹다
셰익스피어 전문 극장 2: 글로브, 영국 극장만의 위엄을 세우다
사설 극장 1: 수도원 부지를 극장으로, 르네상스의 상징성
사설 극장 2: 제2 블랙프라이어즈, 영국 르네상스 극장의 압축판
영국 르네상스 사회와 극장: 국가 정체성을 세우다
8장. 이탈리아 바로크 극장(1600~1750): 오페라를 탄생시키다
무대 디자인의 발전 1: 스펙터클, 토렐리, 부르나치니 부자
무대 디자인의 발전 2: 평면 날개의 등장
무대 디자인의 발전 3: 이소점 원근법, 카프리치오, 사비오네타 궁정 극장
비비에나 가문 1: 이소점 원근법 무대로 유럽을 정복하다
비비에나 가문 2: 카프리치오를 바로크적으로 정의해내다
오페라의 탄생: 그리스 비극을 음악으로 노래한 행복한 결말
오페라의 정착: 연극에서 음악으로, 몬테베르디와 카발리
오페라 극장의 탄생 1: 알레오티의 파르네제 극장
오페라 극장의 탄생 2: 객석과 무대의 표준 구성
오페라 극장의 탄생 3: 오케스트라 피트, 프로시니엄 박스, 타원형 객석
오페라 극장의 발전 1: 17세기 베네치아, 5채의 오페라 극장
오페라 극장의 발전 2: 18세기 이탈리아, 라 스칼라와 라 페니체까지
이탈리아 바로크 사회와 극장: 시대 불안을 예술로 극화해내다
9장. 프랑스 바로크 극장(1643~1750): 연극과 오페라로 읽는 루이 14세 시대의 문화사
프랑스 바로크 연극 개괄
바로크 전반부(1643~1700): 코르네유, 라신, 몰리에르
바로크 고전주의 극 비평 이론: 고전의 전형성을 끝까지 지키다
프랑스주의 대 이탈리아주의 1: 마자랭의 오페라 사랑과 통합의 가능성
프랑스 오페라의 성립 1: 마자랭의 전성기와 토렐리
프랑스 오페라의 성립 2: 마자랭의 말년과 비가라니
프랑스 오페라의 성립 3: 발레리노 루이 14세, 오페라에 발레를 삽입하다
프랑스주의 대 이탈리아주의 2: 코메디 프랑세즈 대 코메디아 델라르테
프랑스주의 대 이탈리아주의 3: ‘극단들의 싸움’, 무대 비품까지 빼앗다
프랑스주의 대 이탈리아주의 4: 루이 14세의 베르사유 궁전
프랑스주의의 도약 1: 음악가 륄리, 프랑스다운 공연을 정착시키다
프랑스주의의 도약 2: 무대 디자이너 베렝 부자, ‘참사 풍경’의 창출
탈 바로크의 징조: 17세기의 몰락과 계몽주의의 발아
18세기 전반부: 후기 바로크의 한계와 볼테르의 개혁
프랑스 바로크 사회와 극장: 프랑스주의의 승리와 대중 혁명의 준비
극장 건축: 궁정 극장과 대중 극장의 두 종류가 계속되다
코메디 프랑세즈 극장: 길고 복잡한 변천사
10장. 영국 바로크 극장(1660~1750): 대륙 앞에 서다
왕정복고와 함께 시작한 바로크 연극: 자유와 독점권의 공존
바로크 전반부(1660~1700)의 연극 1: 영웅 비극과 신고전주의 비극
바로크 전반부(1660~1700)의 연극 2: 다양한 희극, 영국식 오페라
바로크 전반부(1660~1700)의 연극 3: 올라운드 플레이어들
바로크 후반부(1700~1750) 영국의 발전상: 상공업의 발전을 이루며 대륙을 능가하다
바로크 후반부(1700~1750)의 연극 장르 1: 정통 비극과 군소 희극
바로크 후반부(1700~1750)의 연극 장르 2: 발라드 오페라
바로크 후반부(1700~1750) 연극의 내용 변화 1: 보수주의와 ‘시적 정의’
바로크 후반부(1700~1750) 연극의 내용 변화 2: 감상주의와 감상 희극
킬리그루와 대버넌트 경의 경쟁: 왕정복고 연극과 극장 발전을 이끌다
바로크 전반부의 극장 1: 베어 스트리트 극장 대 링컨즈 인 필즈 극장
바로크 전반부의 극장 2: 제1 드루어리 레인 극장 대 도싯 가든 극장
바로크 후반부의 극장: 이탈리아 오페라 극장 모델이 정착하다
건축가들의 극장 작품 1: 렌 경의 셸더니언 극장과 제2 드루어리 레인
건축가들의 극장 작품 2: 렌 경의 교회 건축과 ‘공연성’ 개념
건축가들의 극장 작품 3: 호크스무어의 ‘영역’과 밴브루의 ‘가면’
1737년의 특허령: 연극이 침체되면서 바로크가 막을 내리다
영국 바로크 사회와 극장: 대륙과의 관계를 동등하게 정립하다
도판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