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평면의 정석 : 좋은 집짓기, 평면에서 시작된다

김창균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창균
서명/저자사항평면의 정석 : 좋은 집짓기, 평면에서 시작된다 / 김창균 지음.
발행사항서울 : 독이어북스 : 독이어, 2022.
형태사항267 p. : 천연색삽화 ; 23 cm.
ISBN9791197839207
일반주기 권말에 색인 포함
비통제주제어집짓기,주택건축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3205 728.37 김81125ㅍ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평면은 건축의 기본이자 건축설계라는 일련의 과정을 포괄적으로 압축해놓은,
수많은 고민의 누적이라 말할 수 있다.
건축가가 공간을 직조하는 방식은 매우 많지만, 김창균의 평면은 두 가지 측면에서 건축 공간적 사고의 깊이를 보여준다. 그 하나는 주거 내부 프로그램들의 다채로운 변주로 공간을 점유하는 사람들에게 집이라는 공간을 단순히 ‘사는 곳’이 아닌 ‘즐...

목차 전체

평면은 건축의 기본이자 건축설계라는 일련의 과정을 포괄적으로 압축해놓은,
수많은 고민의 누적이라 말할 수 있다.
건축가가 공간을 직조하는 방식은 매우 많지만, 김창균의 평면은 두 가지 측면에서 건축 공간적 사고의 깊이를 보여준다. 그 하나는 주거 내부 프로그램들의 다채로운 변주로 공간을 점유하는 사람들에게 집이라는 공간을 단순히 ‘사는 곳’이 아닌 ‘즐겁고 다양한 행위를 촉발하는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의 살과 가장 가깝게 맞닿은 집의 특성을 가족이라는 매개로 삶과 공간이 자연스레 어우러진, 온기 품은 따스한 장소가 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이다.
-「포머티브건축사사무소 이성범 소장」의 추천사 中

어떻게 하면 좋은 집을 지을 수 있을까?
집짓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평면’!
시중에 나와 있는 평면 관련 서적은 일본 번역서가 대부분이다. 집짓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평면’임을 잘 알고 있지만, 참고할 서적은 우리나라 실정과 맞지 않는 내용으로만 채워져 있으니 집짓기를 앞둔 독자 입장에서는 부족함을 많이 느낄 수밖에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책 〈평면의 정석〉은 본인의 집을 위한 공간을 구상하고 낭비 없는 최적의 공간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제 지어진 집의 평면도를 담아 그간의 아쉬움을 빈틈없이 채운다.

잘 지은 집을 원한다면 꼭 봐야 할
54채의 주택 평면 그리고 공간 설계 팁
“실제로 집을 설계하는 건축가와 건축주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사무실 개소 이후 꾸준히 주택 설계를 해온 저자는 집의 크기와 외부 디자인, 집을 이루는 재료 역시 중요한 건 맞지만, 가장 주가 되어야 할 것은 바로 이들을 실제 땅에 표현하는 방식인 ‘평면도’라고 말한다.
비워진 여백인 땅에 삶을 투영하는 첫 번째 작업인 평면도를 통해 아파트 평면에 친숙한 이들이 좋은 집짓기를 할 수 있도록 바란다는 것은 출판사와 저자가 이 책을 기획하게 된 가장 큰 이유이다. 한 건축물을 이해하는 데 있어 평면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건축가의 고민과 건축주의 바람이 녹아든 다양한 평면도를 지면 속에 자세히 담고자 했다. 크기와 타입별로 선별한 평면도는 가족 구성에 따른 건축주의 요구사항과 기대가 실제 평면도에서 어떻게 공간으로 표현되었는지, 설계한 건축가의 의도는 무엇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면을 비롯해 지어진 주택의 사진과 설명, 각 실의 의도 등 많은 정보를 서술하고 있어 주택 건축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는 아이디어 제공은 물론, 영감을 떠올릴 수 있는 유익한 책이 될 것이다.

〈평면의 정석〉을 시작으로 한 독이어북스의 ‘건축 평면 시리즈’는 뒤표지의 추천사를 통해 시리즈를 이어갈 건축가를 예고한다. 이 시리즈들이 하나둘 모여 이제 막 집짓기를 시작하는 예비 건축주, 주택 과제를 하는 중인 건축과 학생, 다양한 집을 분석하며 밤새워 좋은 집 설계에 앞장서고 있는 건축가들에게 보탬이 되길 희망해본다.

목차

목차 일부

08 프롤로그

12 72㎡ 안에선 파노라마 풍광, 밖에선 22평 최소의 집
16 110㎡ 팔랑개비처럼 펼쳐, 자연을 많이 접하는 집
20 113㎡ 엇갈린 두 개의 매스로 작지만 풍성함을 보여주는 집
24 117㎡ 빛으로 각 공간에 다양한 표정과 성격을 부여한 집
28 119㎡ 세대 간의 독립성과 소통을 동시에, 삼대가 사는 집
32 121㎡ ...

목차 전체

08 프롤로그

12 72㎡ 안에선 파노라마 풍광, 밖에선 22평 최소의 집
16 110㎡ 팔랑개비처럼 펼쳐, 자연을 많이 접하는 집
20 113㎡ 엇갈린 두 개의 매스로 작지만 풍성함을 보여주는 집
24 117㎡ 빛으로 각 공간에 다양한 표정과 성격을 부여한 집
28 119㎡ 세대 간의 독립성과 소통을 동시에, 삼대가 사는 집
32 121㎡ 집 어디서나 책을 꺼내 읽을 수 있는 세컨드하우스

36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1 : 거실

40 121㎡ 주변 자연과 어우러지는 원형의 집
44 125㎡ 수납공간까지 생각한 다락 품은 단층집
48 127㎡ 경사지 조망을 최대한 살린 현대화된 한옥
52 127㎡ 엄마·아빠와 세 아이를 위한 놀이터 같은 집
56 129㎡ 예측할 수 없는 내부를 가진 박공지붕 집

60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2 : 계단

66 132㎡ 단차 부지를 활용해 내외부 공간이 연결되는 노부부의 집
70 133㎡ 작지만 커 보이는 공간감, 7개의 레벨을 가진 마술 같은 집
74 139㎡ 대지의 레벨 차와 각도를 그대로 적용한 집
78 140㎡ 경사진 대지를 스킵플로어 방식으로 풀어낸 집
82 144㎡ 내부 풍경으로 하늘을 품어 밝고 재미있는 집
86 146㎡ 노모를 위해 지은 은퇴 부부의 집
90 151㎡ 가족 각자의 아지트가 있는 입체적인 동선의 집

94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3 : 현관

98 152㎡ 외부 가벽으로 안전하고 아늑한 마당을 가진 집
102 154㎡ 자연요소를 내부로 끌어들인 노후를 위한 편안한 집
106 155㎡ 3개의 매스와 마당이 교차하는 집
110 156㎡ 중정을 품은 풍차(열십자) 배치의 작은 가게가 있는 집
114 157㎡ 외부에서 마당이 들여다보이지 않는 모퉁이 집
118 159㎡ 언제라도 아이와 눈 맞추고 소통하는 꿈을 담은 집

122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4 : 주방·식당

128 164㎡ 4인 가족을 위한 입체적인 공간이 많은 언덕 위 벽돌집
132 164㎡ 캠핑장에 온 듯한 주택과 별채, 마당을 가진 집
136 167㎡ 불리한 대지 조건을 극복한 채광 좋은 집
140 172㎡ 노모를 모시며 그림을 그리는 화가의 작업실과 집
144 176㎡ 작업실을 별채로 두고 집에서 바로 출근하는 신혼집
148 177㎡ 1층에서 3층까지 끊임없이 연결되며 소통이 이루어지는 집


152 182㎡ 엄마를 위한 다실을 별채로, 가족들의 유쾌한 생활이 그대로 구현된 집
156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5 : 복도·수납공간

160 184㎡ 마당 전체를 골고루 사용하면서 사생활을 보호하는 집
164 185㎡ 주변보다 낮고 튀지 않게, 그리고 밝게 지은 집
168 185㎡ 두 개의 매스로 구분해 바람길을 두고 꽃차 공방을 만든 집
172 187㎡ 라이프스타일과 집에 대한 로망까지 담아낸 두 번째 집
176 188㎡ 대지의 악조건을 극복하고 아늑한 마당을 둔 집
180 196㎡ 서재가 공간의 중심이 되는 순환 동선의 집

184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6 : 다락

190 198㎡ 삼대가 거주하는, 마당 품은 두 집 같은 한 집
194 200㎡ 가족들이 주위 시선에 방해받지 않는 집
198 205㎡ 집 안 구석구석 햇빛 드는, 어린 딸과 함께 하는 집
202 208㎡ 사생활 보호를 위해 마당을 품은 집
206 211㎡ 5:5 공간 비율로 친구와 함께 살아가는 듀플렉스 주택
210 213㎡ 독립적이면서 자연스러운 왕래를 원하는 삼대가 함께 사는 집
214 214㎡ 4개의 마당을 마주하면서 외부 자연을 집 안으로 끌어들인 집
218 220㎡ 어른들에게 즐거운, 노후를 위한 집
222 227㎡ 집 안에서도 산책하는 느낌이 드는 모퉁이 집

226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7 : 아이 공간

232 233㎡ 주차장에서부터 집 내부까지 여정을 느끼는 집
236 250㎡ 프라이버시를 고려한 숲을 조망할 수 있는 집
240 264㎡ 완벽한 ‘ㅁ’자 배치의 중정을 가진 집
244 295㎡ 4개의 매스로 정원을 둘러쌓아 만든 입체적인 구조의 집
248 305㎡ 중목구조를 활용한 ‘ㄷ’자 배치로 가족만의 공간을 담은 집
252 314㎡ 모든 공간이 중앙 마당으로 열려 빛과 바람이 풍성한 집
256 319㎡ 다양한 내외부 공간이 입체적으로 연속되는, 세 가족이 사는 집
260 338㎡ ㄱ과 ㄴ이 겹쳐진 하이브리드 구조의 삼층집

264 좋은 평면을 위한 공간 설계 TIP 8 : 가족만의 특별한 공간

268 인덱스

저자소개

저자(글) 김창균

그외직업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다양한 곳에서 건축 실무경험을 쌓은 후 2009년 유타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고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젊은 건축가상’을 수상했다, 보여주기식의 독특한 디자인보다 가장 평범한 것이 가장 비범한 결과를 만든다는 것에 확신하고, 주어진 각기 다른 조건 내에서 최대한 솔직하고 명쾌하게 공간을 구성하며 재료 하나하나의 접합과 만짐을 소중하게 여긴다. 지난 시간도 그렇고 앞으로도 건축주와 함께 건강한 집, 따뜻한 공간을 가진 도시 내 건축물을 만드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