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평면은 건축의 기본이자 건축설계라는 일련의 과정을 포괄적으로 압축해놓은,
수많은 고민의 누적이라 말할 수 있다.
건축가가 공간을 직조하는 방식은 매우 많지만, 김창균의 평면은 두 가지 측면에서 건축 공간적 사고의 깊이를 보여준다. 그 하나는 주거 내부 프로그램들의 다채로운 변주로 공간을 점유하는 사람들에게 집이라는 공간을 단순히 ‘사는 곳’이 아닌 ‘즐...
목차 전체
평면은 건축의 기본이자 건축설계라는 일련의 과정을 포괄적으로 압축해놓은,
수많은 고민의 누적이라 말할 수 있다.
건축가가 공간을 직조하는 방식은 매우 많지만, 김창균의 평면은 두 가지 측면에서 건축 공간적 사고의 깊이를 보여준다. 그 하나는 주거 내부 프로그램들의 다채로운 변주로 공간을 점유하는 사람들에게 집이라는 공간을 단순히 ‘사는 곳’이 아닌 ‘즐겁고 다양한 행위를 촉발하는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의 살과 가장 가깝게 맞닿은 집의 특성을 가족이라는 매개로 삶과 공간이 자연스레 어우러진, 온기 품은 따스한 장소가 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이다.
-「포머티브건축사사무소 이성범 소장」의 추천사 中
어떻게 하면 좋은 집을 지을 수 있을까?
집짓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평면’!
시중에 나와 있는 평면 관련 서적은 일본 번역서가 대부분이다. 집짓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평면’임을 잘 알고 있지만, 참고할 서적은 우리나라 실정과 맞지 않는 내용으로만 채워져 있으니 집짓기를 앞둔 독자 입장에서는 부족함을 많이 느낄 수밖에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책 〈평면의 정석〉은 본인의 집을 위한 공간을 구상하고 낭비 없는 최적의 공간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제 지어진 집의 평면도를 담아 그간의 아쉬움을 빈틈없이 채운다.
잘 지은 집을 원한다면 꼭 봐야 할
54채의 주택 평면 그리고 공간 설계 팁
“실제로 집을 설계하는 건축가와 건축주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사무실 개소 이후 꾸준히 주택 설계를 해온 저자는 집의 크기와 외부 디자인, 집을 이루는 재료 역시 중요한 건 맞지만, 가장 주가 되어야 할 것은 바로 이들을 실제 땅에 표현하는 방식인 ‘평면도’라고 말한다.
비워진 여백인 땅에 삶을 투영하는 첫 번째 작업인 평면도를 통해 아파트 평면에 친숙한 이들이 좋은 집짓기를 할 수 있도록 바란다는 것은 출판사와 저자가 이 책을 기획하게 된 가장 큰 이유이다. 한 건축물을 이해하는 데 있어 평면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건축가의 고민과 건축주의 바람이 녹아든 다양한 평면도를 지면 속에 자세히 담고자 했다. 크기와 타입별로 선별한 평면도는 가족 구성에 따른 건축주의 요구사항과 기대가 실제 평면도에서 어떻게 공간으로 표현되었는지, 설계한 건축가의 의도는 무엇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면을 비롯해 지어진 주택의 사진과 설명, 각 실의 의도 등 많은 정보를 서술하고 있어 주택 건축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는 아이디어 제공은 물론, 영감을 떠올릴 수 있는 유익한 책이 될 것이다.
〈평면의 정석〉을 시작으로 한 독이어북스의 ‘건축 평면 시리즈’는 뒤표지의 추천사를 통해 시리즈를 이어갈 건축가를 예고한다. 이 시리즈들이 하나둘 모여 이제 막 집짓기를 시작하는 예비 건축주, 주택 과제를 하는 중인 건축과 학생, 다양한 집을 분석하며 밤새워 좋은 집 설계에 앞장서고 있는 건축가들에게 보탬이 되길 희망해본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