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 : 잊힌 전쟁, 오래된 현재

윤충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윤충로
서명/저자사항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 : 잊힌 전쟁, 오래된 현재 / 윤충로 지음.
발행사항서울 : 푸른역사, 2015.
형태사항402 p. : 삽화 ; 23 cm.
기타표제Vietnam war
ISBN9791156120506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368-397), 색인(p. 398-402) 포함
비통제주제어베트남전,베트남전쟁,한국인참전,한국사회사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3275 959.7043 윤8176ㅂ 중앙도서관/제1자료실(3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베트남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작년이 베트남전쟁 한국군 파병 50주년이었고, 올해는 베트남전쟁 종전 40주년이다. 그러나 작년에도 올해도 한국 사회에서 베트남전쟁에 대한 관심은 그리 크지 않다. 베트남전쟁 참전 시기 한국 사회는 다양한 측면에서 역동적인 변화를 경험했지만, 지금 베트남전쟁은 그저 ‘잊힌 전쟁’이 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잊힌 것...

목차 전체

베트남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작년이 베트남전쟁 한국군 파병 50주년이었고, 올해는 베트남전쟁 종전 40주년이다. 그러나 작년에도 올해도 한국 사회에서 베트남전쟁에 대한 관심은 그리 크지 않다. 베트남전쟁 참전 시기 한국 사회는 다양한 측면에서 역동적인 변화를 경험했지만, 지금 베트남전쟁은 그저 ‘잊힌 전쟁’이 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잊힌 것은 참전했던 개인들의 이야기일 것이다.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는 자료더미와 전쟁을 둘러싼 ‘기억’, ‘기억의 정치’와 대면하여 잊힌 전쟁을 현재로 불러온다. 파월장병, 파월기술자, 대학생 위문단, 전쟁 당시 한국군에게 피해를 입은 베트남인 등 전쟁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다양한 주체·집단의 목소리를 통해 베트남전쟁을 다시 보고, 더 나아가 베트남전쟁을 둘러싼 한국 사회의 이념지형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목차

목차 일부

책머리에
프롤로그: 베트남전쟁 참전자의 삶의 맥락과 생애사적 시간 

1장 총론: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를 위하여

1부 참전의 정치·경제와 전쟁에서의 정체성
2장 자유와 반공의 이름으로: 전쟁 동원을 위한 역사·사회적 배경과 참전 과정 
3장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를 향한 열망 사이에서

2부 전쟁 동원과 일상의 전장화
4장 ‘파월병사’의 전쟁: ‘...

목차 전체

책머리에
프롤로그: 베트남전쟁 참전자의 삶의 맥락과 생애사적 시간 

1장 총론: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를 위하여

1부 참전의 정치·경제와 전쟁에서의 정체성
2장 자유와 반공의 이름으로: 전쟁 동원을 위한 역사·사회적 배경과 참전 과정 
3장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를 향한 열망 사이에서

2부 전쟁 동원과 일상의 전장화
4장 ‘파월병사’의 전쟁: ‘월남’으로의 여정과 전장의 경험
5장 후방의 전쟁 동원과 일상

3부 ‘군번 없는 군인’, 전장의 파월派越 기술자
6장 빈넬Vinnell 파월기술자의  전쟁 경험과 생활세계의 변화 
7장  ‘월남재벌’ 한진의 형성과 파월기술자의 저항

4부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정치
8장 전후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동원
9장 전쟁 기념과 기억의 정치

10장 결어: 우리에게 베트남전쟁은 무엇인가?

저자소개

저자 : 윤충로
저자 윤충로는 동국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45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의 국가형성사를 주제로 한 박사학위 논문을 다듬어 《베트남과 한국의 반공독재국가형성사》를 펴냈고, 이 책으로 2007년 제2회 김진균상을 수상했다. 
역사사회학을 전공한 후 사회사와 구술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해가면서 한국 현대사, 특히 해방 이후 한국이 경험한 전쟁과 근대화 과정을 연구해왔다. 이와 관련하여 평범한 사람들이 경험하고 기억하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베트남전쟁 경험과 기억을 다루고 있는 이 책은 바로 이러한 관심의 결과물이다. 
한성대학교 전쟁과평화연구소,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일했고,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단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20세기 한국의 대 베트남 관계와 인식〉, 〈20세기 한국의 전쟁 경험과 폭력〉, 〈구술을 통해 본 1970년대 새마을운동〉 등이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