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90년생 한국 여자, 결혼 권하는 사회에
탈혼으로 답하다!
인류만큼 낡은 결혼제도를 동시대적으로 관통하다.
혼인건수와 출생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20~30대 여성들 사이에서는 비혼비출산이 구호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쏟아지는 결혼ㆍ출산 장려책도 추세를 바꾸기엔 역부족이다. 여성부를 폐지하고 인구가족부를 설립할 때가 아니라, 여자들이 대체 왜 ...
목차 전체
90년생 한국 여자, 결혼 권하는 사회에
탈혼으로 답하다!
인류만큼 낡은 결혼제도를 동시대적으로 관통하다.
혼인건수와 출생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20~30대 여성들 사이에서는 비혼비출산이 구호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쏟아지는 결혼ㆍ출산 장려책도 추세를 바꾸기엔 역부족이다. 여성부를 폐지하고 인구가족부를 설립할 때가 아니라, 여자들이 대체 왜 이렇게 되었는지 귀를 기울일 때다. 여아 낙태가 최고조에 달했던 1990년, 가까스로 태어난 여자들은 세일러문 같은 마법소녀물에 등장하는 ‘진정한 사랑’을 꿈꾸며 자랐다. 이들은 여자니까 공부를 더 열심히 해서 전문직이 되라는 말을 듣고 자란 ‘알파걸’ 세대이기도 하다. 한때 ‘김치녀’가 되기 싫어서 데이트 때마다 선뜻 지갑을 열던 ‘흔녀들’은 어쩌다 소위 ‘극단적 페미니스트’가 되었을까?
〈탈혼기〉는 90년대생 여자의 생애사를 충실히 따라가며 그 답을 추적한다. 수천 년 동안 겉모습만 바꿔온 가부장제가 여성의 삶에 침투하는 과정을 가장 동시대적인 서사로 풀어내면서 여자들이 마침내 결혼제도로부터 ‘탈출’을 감행하는 현장을 포착한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