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챗GPT 거대한 전환 : AI 전쟁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김수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수민
백선환
서명/저자사항챗GPT 거대한 전환 : AI 전쟁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 김수민 ; 백선환 [공]지음.
발행사항서울 : 알에이치코리아, 2023.
형태사항407 p. : 천연색삽화, 표 ; 23 cm.
ISBN9788925576756
일반주기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어임
서지주기미주(p. 404-407) 포함
비통제주제어챗GPT,인공지능,AI,사회변동,미래전망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8829 303.4833 김5727ㅊ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2 E568830 303.4833 김5727ㅊ c.2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출시 두 달 만에 월간 사용자 1억 명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2023년의 키워드로 떠오른 챗GPT. 언어를 번역하고, 텍스트를 정리하고, 에세이를 작성하거나 프로그래밍 코드를 생성하고, 심지어 MBA 기말시험을 통과하거나 소설과 카피를 써내는 이 AI는 지금껏 등장했던 그 어떤 서비스보다도 사람들의 열광을 짧은 시간 안에 끌어모았다. 『챗GPT 거대한 전환』...

목차 전체

출시 두 달 만에 월간 사용자 1억 명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2023년의 키워드로 떠오른 챗GPT. 언어를 번역하고, 텍스트를 정리하고, 에세이를 작성하거나 프로그래밍 코드를 생성하고, 심지어 MBA 기말시험을 통과하거나 소설과 카피를 써내는 이 AI는 지금껏 등장했던 그 어떤 서비스보다도 사람들의 열광을 짧은 시간 안에 끌어모았다. 『챗GPT 거대한 전환』은 챗GPT라는 서비스와 그 배경 기술인 생성형 AI의 개념을 설명하고, 나아가 현재 생성형 AI를 두고 벌어지는 세계적인 기업들의 경쟁과 앞으로 AI가 바꾸어 나갈 산업과 시장의 미래를 분석하는 책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전 세계의 IT 기업들을 지원하며 업계의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아마존(AWS), 그리고 국내 반도체 업계의 선두 주자인 삼성전자. 이 책은 두 기업의 현직 AI 전문가가 집필한 책으로, 생성형 AI 기술과 관련된 서비스 50개 이상을 전문가의 시선으로 소개, 분석하고 있다. 아직은 IT 업계만의 이슈인 듯 보이는 생성형 AI 기술은 이미 잘 알려진 마케팅,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법률,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응용 서비스를 만들어내고 있다. 《챗GPT 거대한 전환》은 이러한 서비스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챗GPT에서 시작된 AI 전쟁이 앞으로 우리의 산업과 시장을 어떻게 변화시켜 나갈지 전망하는 책이다.

목차

목차 일부

추천사
프롤로그 AI 전쟁, 이해와 용기가 필요하다

1부 챗GPT, 생성형 AI의 시대를 열다

1장 대세가 된 챗GPT
- 게임 체인저, 챗GPT의 등장
- 챗GPT란 무엇인가?
- 챗GPT와 일론 머스크
- 오픈 AI의 설립자 샘 올트먼
- 챗GPT를 알아야 하는 네 가지 이유

2장 차근차근 이해하는 챗GPT 배경기술
- Ge...

목차 전체

추천사
프롤로그 AI 전쟁, 이해와 용기가 필요하다

1부 챗GPT, 생성형 AI의 시대를 열다

1장 대세가 된 챗GPT
- 게임 체인저, 챗GPT의 등장
- 챗GPT란 무엇인가?
- 챗GPT와 일론 머스크
- 오픈 AI의 설립자 샘 올트먼
- 챗GPT를 알아야 하는 네 가지 이유

2장 차근차근 이해하는 챗GPT 배경기술
- Generative: 생성형 AI와 언어 모델
- Transformer: 트랜스포머 신경망 모델
- Pre-trained: 사전 학습 모델과 미세 조정

2부 AI 전쟁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3장 2023년은 AI 전쟁의 원년
- 마이크로소프트, 이제 2등은 없다
- 구글, 검색 엔진 1등 사수한다
- 챗GPT가 가져올 검색 엔진의 미래
- 마이크로소프트가 챗GPT로 도전장을 내민 분야들

4장 챗GPT로 누가 돈을 벌 것인가?
- AI 전쟁을 주도하는 빅테크
- 혁신 기술의 비밀, 역사는 반복된다
- 생성형 AI 유니콘의 등장
- 유니콘 1: 오픈 소스 AI 커뮤니티, 허깅페이스
- 유니콘 2: 모바일 크리에이티브 툴, 라이트릭스
- 유니콘 3: 천재 AI 카피라이터, 재스퍼
- 유니콘 4: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검색 솔루션, 글린
- 유니콘 5: 오픈 소스 이미지 생성 AI, 스태빌리티AI

5장 한국 AI 시장과 주요 기업
- 초거대 AI 모델 기업: 네이버, 카카오브레인, LG, KT, SKT
- 클라우드 기업: 네이버 클라우드
- AI 반도체 기업: 삼성전자, 퓨리오사AI, 사피온, 리벨리온
- AI 응용 서비스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 프렌들리AI, 포자랩스, 스캐터랩
- 한국 AI 기업의 생존 전략

3부 생성형 AI가 바꾸는 미래

6장 생성형 AI 글로벌 서비스
- 파운데이션 모델과 응용 AI 서비스
- (텍스트) 카피를 쓰고 고객 문의에 응대하는 AI : 카피AI, 뮤터니, 옉스트
- (이미지) 인간 예술가를 이긴 AI 아티스트: 달리2, 미드저니
- (오디오) 개인화된 음악을 만들고 텍스트로 작곡하는 AI: AI뮤직, 뮤직LM
- (영상) 단어와 이미지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다: 런웨이, 리프레이즈AI
- (코드) 개발자의 짐을 덜어주는 AI: 코파일럿
- (검색 엔진) MS보다 앞서 대화형 검색을 선보인 스타트업: 유닷컴
- (데이터) 강력한 인사이트를 위한 합성 데이터 생성: 모스틀리AI, 그레텔
- (디자인) 말하는 대로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주는 AI: 갈릴레오AI
- (프롬프트) AI와 ‘대화하는 법’을 판매하는 마켓플레이스: 프롬프트베이스
- 신생 기업들의 미래 가치 포착 전략

7장 산업과 시장의 지각변동
- 파괴적 혁신의 리셋 모먼트
- (교육) 초개인 맞춤형 교육의 대중화 (사례: 스픽)
- (광고/마케팅) 이제 AI는 업계의 필수 도구 (사례: 카피스미스, 카피몽키)
- (콘텐츠) 완전히 바뀐 창작의 방식 (사례: 노벨AI)
- (미디어)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서 AI 제작 콘텐츠로 (사례: 디스크립트, 타입캐스트)
- (디자인) 몇 초 만에 완성되는 콘셉트 디자인 (사례: 플레어AI, 칼라)
- (IT) 인사이트를 가진 개발자가 생존한다 (사례: 탭나인)
- (헬스케어/의료) 다양한 도전, 100세 시대를 넘어 (사례: 힐리움)
- (법률) 더 많은 고객에게 고품질의 법률 서비스를 (사례: 하비)
- (금융/회계) AI 금융 자문가의 등장 (사례: 키퍼, 타뷸레이트)
- (업무 생산성) 모두가 비서를 채용하는 시대 (사례: 멤)
- (메타버스) 더 쉽고 몰입감 있는 가상세계의 시작 (사례: 캐릭터AI, 레디플레이어미)

8장 생성형 AI로 더 강력해지려는 기업들
- 메가 트렌드의 포착
- 40년간 끝없이 창작 방식을 혁신해 온 어도비
- 세일즈포스의 새로운 AI 서비스 아인슈타인GPT
- 일 잘하는 사람들의 비밀 무기 노션
- 보이지 않는 코더의 손 레플릿
- 셔터스톡의 책임감 있는 크리에이티브 AI

4부 챗GPT의 한계와 도전

9장 챗GPT의 한계
- 챗GPT는 완전한가?
- 기술적 한계: 정확도와 할루시네이션
- 윤리적 문제: 편견, 프라이버시, 저작권, 환경 문제
- 미세조정과 업데이트를 통한 한계 극복

10장 챗GPT와 생성형 AI가 나아갈 길
- 챗GPT와 생성형 AI의 도전과 기회
- 챗봇과 검색에 대한 소비자 멘탈 모델의 변화
- 높은 사용자 경험을 위한 새로운 검색 엔진
- GPT-4와 멀티모달로의 확장
- 인간을 위한 범용 AI
- 거대한 전환, 선택의 순간

저자소개

현재 삼성전자 MX 사업부에서 서비스 전략과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거슨 레만 그룹의 AI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추천 서비스 알고리즘 등에 대한 컨설팅을 수행했다. 이전에는 CJ ENM, HP, 다음소프트에서 디지털 마케팅과 신사업 리서치를 진행했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다양한 맥락에서 AI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CS와 AI 분야 최고 학회인 ACM CHI, CSCW, ACL에 인간-인공지는 상호작용 관련 논문을 다수 게재하였으며, 카네기멜론 대학, 스탠포드 대학 등의 연구자들과 다양한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 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챗봇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사용자 입장에서 검증하는 연구를 다수 진행했다. 서울대학교와 멀티캠퍼스 등에서 학생들과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기도 하며, 트레바리에서 [사용자 지상주의 : AI + UX] 커뮤니티를 운영 중이다. 최근에는 생성형 AI 기반의 혁신 서비스와 사용자 경험을 연구하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융합연구를 개척하고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