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심로고

로컬네비게이션

전체메뉴

전체메뉴

검색

상세정보

실재론적 마술 : 객체, 존재론, 인과성

Morton, Timothy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Morton, Timothy, 1968-
안호성, 1995-
서명/저자사항실재론적 마술 : 객체, 존재론, 인과성 / 티머시 모턴 지음 ; 안호성 옮김.
발행사항서울 : 갈무리, 2023.
형태사항464 p. : 삽화 ; 19 cm.
총서사항카이로스총서 ; 94
원서명Realist magic : objects, ontology, causality
ISBN9788961953214
일반주기 판권표제임
부록: 모든 것이 온다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참고문헌(p. 445-456), 색인(p. 457-464) 포함
비통제주제어실재론,존재론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서가에 없는 도서서가에 없는 도서
  • 야간대출 이미지야간대출
  • 인쇄인쇄

전체

전체 소장정보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밀집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E569522 111 M891r안 중앙도서관/제2자료실(4F)/ 대출중 2023-12-20 예약가능
인쇄

초록

목차 일부

생태학자, 문학 이론가, 객체지향 철학자 티머시 모턴은 객체들의 마술적 밤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사물들은 내적으로 물러나 있고, 그것들에 대한 지각이나 관계나 사용으로 환원될 수 없다. 사물들은 오직 흔적과 발자국의 낯선 영역, 즉 미적 차원에서만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든 객체는 부재와 함께 반짝인다. 감각적인 것은 객체의 사라짐에 대한 애가(...

목차 전체

생태학자, 문학 이론가, 객체지향 철학자 티머시 모턴은 객체들의 마술적 밤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사물들은 내적으로 물러나 있고, 그것들에 대한 지각이나 관계나 사용으로 환원될 수 없다. 사물들은 오직 흔적과 발자국의 낯선 영역, 즉 미적 차원에서만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든 객체는 부재와 함께 반짝인다. 감각적인 것은 객체의 사라짐에 대한 애가(哀歌)이다. 이것은 미적 차원에 관한 무언가를, 철학자들이 종종 미적 차원을 악의 영역이라고 여긴 이유에 관한 무언가를 우리에게 말해주지 않는가?

『실재론적 마술』은 객체지향 존재론의 관점에서 인과성을 탐구한다. 모턴은 인과성이 미적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미적 사건은 인간들 사이의 상호작용이나 인간과 화폭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인간과 드라마 속 대사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미적 사건은 톱이 새로운 합판 조각을 베어 물었을 때 일어난다. 미적 사건은 벌레가 축축한 흙에서 배어 나올 때 일어난다. 미적 사건은 거대한 객체가 중력파를 방출할 때 일어난다. 우리가 예술을 만들거나 연구할 때 우리는 인과관계를 만들거나 인과성을 연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모턴은 미적 차원은 인과적 차원이라고 말한다.

목차

목차 일부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7
감사의 말 9
서론 : 사물이 거울에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 11

1장 환상과 같이 57

콘크리트 블록의 신비 60
대균열 91
주체라고 불리는 객체 104
기이한 인과성 108
상호사물성의 심연 113
둔탁한 부딪침 없는 인과관계 124
허상의 문제 128
실체의 역사 133
객체는 위선자이다 14...

목차 전체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7
감사의 말 9
서론 : 사물이 거울에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 11

1장 환상과 같이 57

콘크리트 블록의 신비 60
대균열 91
주체라고 불리는 객체 104
기이한 인과성 108
상호사물성의 심연 113
둔탁한 부딪침 없는 인과관계 124
허상의 문제 128
실체의 역사 133
객체는 위선자이다 147
현상의 놀이 155

2장 마술의 탄생 186

샘플링으로서의 인과성 193
상호사물성 재고 206
개구 : 왜곡으로서의 시작 211
숭고한 시작들 220
새로움 대 창발 237
사물들 한가운데서 254

3장 마술의 삶 261

현재 순간의 디스코 265
유보 기계 273
용암의 문제 283
디스플레이서 비스트 : 운동의 신비 306
바르도[중유] 1 312

4장-마술의 죽음 326

닫힘 : 아름다운 친구여, 이것이 끝이라네 336
바르도[중유] 2 342
하마르티아 347
현전 없는 객체 : 현재 없는 객체 367

결론 : 기묘한 아리스토텔레스 388
그림 목록 399
부록 : 모든 것이 온다 400
참고문헌 445
인명 찾아보기 457
용어 찾아보기 460

저자소개

저 : 티머시 모턴 (Timothy Morton)    
영문학자이자 생태이론가. 옥스퍼드 대학 마들린 칼리지에서 영국 낭만주의 시인 셸리(Percy Bysshe Shelley)의 시에 나타난 음식과 섭생, 소비의 문제를 다룬 「육체를 재-생상화하기: 셸리와 다이어트의 언어」(Re-Imagining the Body: Shelley and the Languages of Diet)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미국 라이스 대학 영문학과의 리타 시 거피(Rita Shea Guffey Chair) 석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의 주된 관심은 밀턴과 셸리를 비롯한 영국 시, 문학에 나타난 음식 및 육체 연구, 생태학, 객체 지향적 존재론, 생물학, 양자물리학 등 초학제적 연구에 있다. 그의 저작으로는 Ecology without Nature: Rethinking Environmental Aesthetics (2007), The Ecological Thought (2010), Hyperobjects: Philosophy and Ecology after the End of the World (2013), Realist Magic: Objects, Ontology, Causality (2013), Dark Ecology : For a Logic of Future Coexistence (2016), Humankind : Solidarity with Nonhuman People (2017), Being Ecological (2018)이 있고, 공동 저작으로는 Marcus Boon, Eric Cazdyn, & Timothy Morton. Nothing: Three Inquiries in Buddhism (2015), Timothy Morton & Dominic Boyer. Hyposubjects: On Becoming Human (2021) 등이 있다.

역 : 안호성    
와세다대학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하고 클레어몬트신학대학원을 중퇴하였다. 사변적 실재론과 화이트헤드 철학에 관심이 많으며, 현재는 관련 도서들을 번역하고 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10점 중 별0점
  • 별5점
  • 총 10점 중 별9점
  • 별4점
  • 총 10점 중 별7점
  • 별3점
  • 총 10점 중 별5점
  • 별2점
  • 총 10점 중 별3점
  • 별1점
  • 총 10점 중 별1점
  • 총 10점 중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맨 위로가기 버튼